김상리 ()

송와집
송와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선교랑, 돈녕부주부, 예빈시주부, 순릉참봉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의」, 『송와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이흡(而洽)
송와(松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2년(영조 8)
사망 연도
1806년(순조 6)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함경남도 영흥군
주요 관직
지릉직장|순릉참봉
정의
조선 후기에, 선교랑, 돈녕부주부, 예빈시주부, 순릉참봉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의」, 『송와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이흡(而洽), 호는 송와(松窩). 함경도 쌍성 출신. 아버지는 김시연(金是淵)이며, 어머니는 인동장씨(仁同張氏)로 참봉 장균(張均)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일정한 스승이 없이 혼자 공부에 전념하였다. 과거시험에 여러 번 낙방하자 경학의 본원(本源) 공부에 힘써 박학(博學)·역행(力行)에 주력하였다.

1776년(영조 52)에 학행(學行)으로 천거, 지릉별검(智陵別檢)에 임명되었고 이어 선교랑(宣敎郎)·지릉직장(智陵直長)·선원전영(璿源殿令) 등을 지냈으며, 1798년에는 선략부사과(宣略副司果)·돈녕부주부(敦寧府主簿)와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로 임명되었으나 사직을 청하였다.

관직에 있는 동안에도 여가를 이용해 학문 연구와 자신의 검속(檢束)에 힘썼으며, 특히 『근사록(近思錄)』과 『이정전서(二程全書)』를 독신(篤信)하였다. 1788년(정조 12)에 순릉참봉(純陵參奉)으로 있을 때 맡은 직분에 성심으로 임해 덕을 베푸니, 능예(陵隷)들이 송덕비를 세워 기렸다.

김상리는 불의한 방법으로 벼슬하는 것을 극력 배척했을 뿐만 아니라, 의리와 이익의 분변에 엄격하였다. 만년에 고향에 향숙(鄕塾)을 세우고 후진 교육에 힘을 쏟아, 사풍(士風)을 진작시키고 북방에 문운을 흥기시켰다.

김상리는 성리학을 주로 역리(易理)에 결부시켜 논술했고, 역학 연구에 관한 「경의(經義)」 등의 많은 저술을 남겼다. 1830년(순조 30)에 문인과 향중(鄕中) 선비들에 의해 함경도 쌍성 영인(寧仁)의 상덕사(尙德祠)에 향사되었다.

저서로는 『성리연의(性理演義)』 2편과 『오경촬요(五經撮要)』 5편이 있었지만, 스스로 부족하다고 여겨 태워버렸다. 증손인 근행(謹行)이 여러 문인들의 기록과 암기한 것들을 모아서, 1881년(고종 18)에 『송와집(松窩集)』 4권 2책으로 간행하였다.

참고문헌

『송와집(松窩集)』
『조선유교연원(朝鮮儒敎淵源)』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오석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