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묵 ()

김정묵의 과재유고 중 권수면
김정묵의 과재유고 중 권수면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규도수록』, 『과재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이운(而運)
과재(過齋)
이칭
두묵(斗默)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9년(영조 15)
사망 연도
1799년(정조 23)
본관
광산(光山)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규도수록』, 『과재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초명은 김두묵(金斗默), 자는 이운(而運), 호는 과재(過齋). 김장생(金長生)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김위재(金偉材)이며, 어머니는 파평윤씨로 참봉 휴경(休耕)의 딸이다. 재당숙인 기재(驥材)에게 입양되었으며, 양어머니는 진주유씨(晉州柳氏)로 전적(典籍) 유상휘(柳尙徽)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학업에도 충실하였으며, 능히 과거시험에 응시할 수도 있었으나 할아버지 김운택(金雲澤)이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벼슬에서 물러난 것을 보고 벼슬하기를 꺼려 학문에만 힘썼다.

1780년(정조 4) 감사의 추천으로 돈녕부참봉(敦寧府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다시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경연서연관(經筵書筵官) 등에 임명되었으나 그 때 족친인 김하재(金夏材)의 역변(逆變)이 있었으므로 끝내 사퇴하였다.

김정묵은 경전 외에도 『심경(心經)』·『근사록(近思錄)』·『성학집요(聖學輯要)』를 강론하면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김정묵은 성리학과 예설(禮說)에 밝았다.

『남당집(南塘集)』 중 심성(心性)·이기(理氣)·예설 등에 관한 한원진(韓元震)의 논술이 이이(李珥)·송시열(宋時烈)의 본 뜻에 많이 위배됨을 지적, 고증을 들어 변증하는 『규도수록(圭刀隨錄)』을 저술하였다. 저서로는 『과재유고(過齋遺稿)』 11권 5책이 있다.

참고문헌

『과재유고(過齋遺稿)』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