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영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성리학에 통달하기 위하여 한 살 연상인 전우와 사제 관계를 맺는 등 학문에 힘썼으며, 이기설과 예학에 주력했던 학자.
이칭
덕경(德卿)
병암(炳菴)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2년(헌종 8)
사망 연도
1907년(고종 44)
본관
의성(義城)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성리학에 통달하기 위하여 한 살 연상인 전우와 사제 관계를 맺는 등 학문에 힘썼으며, 이기설과 예학에 주력했던 학자.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덕경(德卿), 호는 병암(炳菴). 아버지는 김상억(金相億),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 홍찬(洪瓚)의 딸이다. 학문이 거의 성숙한 뒤에 전우(田愚)의 문인이 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가세가 극도로 곤궁하여 주경야독을 하였으나 워낙 독실하게 공부하여 임헌회(任憲晦)·신응조(申應朝)·송병선(宋秉璿)·박운창(朴芸牕)·김계운(金溪雲) 등 당시 학자들에게 모두 허통(許通) 받았으며 성리학을 더욱 공부하기 위하여 한 살 연상인 전우에게 3번씩이나 찾아가 사제(師弟)관계를 맺었다.

이기설(理氣說)과 예학(禮學)에 특히 주력하였으며 이항노(李恒老)를 중심한 벽문학자(檗門學者)들의 주리설(主理說)과 인물성이설(人物性異說)을 주장하는 한원진(韓元震)계의 학설을 비판, 논변하는 반면,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간재(艮齋)의 학설을 적극 지지하는 학문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 정부의 개화정책(開化政策)과 천주교에 대하여 적극 반대하는 시국관을 갖는 학자였다.

참고문헌

『병암집(炳菴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