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직재의 옥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사건
조선 광해군 때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지지하던 소북파를 제거하려고 일으킨 옥사(獄事).
목차
정의
조선 광해군 때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대북파(大北派)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지지하던 소북파를 제거하려고 일으킨 옥사(獄事).
내용

1612년(광해군 4) 2월 황해도 봉산군수 신율(申慄)주1주2을 위조해 주3을 피하려고 했던 김경립(金景立, 일명 濟世)을 체포한 뒤, 유팽석(柳彭錫)을 시켜 주4을 꾸미게 한 데서 발단이 되었다. 즉, 신율은 체포된 김경립에게 8도에 각각 대장(大將) · 별장(別將)을 정해 불시에 서울을 함락시키고자 하였으며, 김경립 자신도 여기에 가담하였다고 허위진술을 하도록 강요하였다.

또, 김경립의 아우 김익진(金翼辰)에게는 팔도도대장(八道都大將)이 김백함(金白緘)이며, 김백함은 아버지 직재의 실직(失職)에 대한 불만을 품고 모역하였다고 진술하게 하였다. 신율은 김백함의 할아버지 김흠(金欽)이 왜적에게 희생되자, 희생된 흠의 원수를 갚기 위해 흠의 아들인 직재가 아버지 상중(喪中)에 종군해 주육(酒肉)을 먹은 사실 때문에 대간의 탄핵을 받아 실직한 과거 사실을 알고 이를 이용하려 했던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김직재와 김백함 부자는 물론, 직재의 사위 황보 신(皇甫信) 및 일족이 모두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받았다. 김백함은 모역에 대해 극구 부인하다가, 끝내 고문에 못이겨 자신이 모역의 주동자라는 허위 사실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이호민(李好閔), 전 감사 윤안성(尹安性), 전 좌랑 송상인(宋象仁), 전 군수 정호선(丁好善), 전 정언 정호서(丁好恕) 등 수십 인과 모의하여 날짜를 정해 서울을 침범하려 하였다고 주5하였다.

이 사건은 박동량(朴東亮)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옥사가 강행되었다. 결국 그들이 추대하려는 왕이 순화군(順和君)의 양자인 진릉군 태경(晉陵君泰慶)이라고 하였으며, 이이첨(李爾瞻) 등의 대북파를 제거하려 하였다는 데까지 이르렀다. 결국 김직재 · 김백함 부자와 황보 신 등이 처형되고, 김척(金滌) · 유팽석(柳彭石) · 김일승(金日昇) · 정몽민(丁蒙民) 등은 심문 중 사망해 정형(正刑)을 받았다. 유선(柳愃) · 황혁(黃赫) · 조수륜(趙守倫) · 권필(權韠) · 황상(黃裳) · 김덕재(金德哉) · 김삼함(金三緘) · 김강재(金降哉) 등이 고문 끝에 사망하였다.

또한, 송상인 · 황석(黃奭) · 신희업(辛喜業) 등이 주6되고, 양원(梁榞) · 김용(金溶) · 김여준(金汝峻) · 신경상(申景湘) · 김제(金濟) · 유열(柳悅) · 유문석(柳文錫) · 이징수(李徵洙) 등이 주7에 유배되는 등 벼슬에서 쫓겨난 자도 많았다. 그리하여 옥사에 희생된 자만도 100여 인에 달하였다. 결국 이 옥사는 출세욕에 눈이 어두운 신율에 의해 조작되고 대사간 이이첨 · 유인길(柳寅吉) 등이 당시 사회에서 가장 불우하고 불평이 많던 김직재의 일족을 희생물로 삼아 소북파 유영경(柳永慶) 등의 잔당을 제거하려고 꾸민 무옥이었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
『연려실기술』
주석
주1

국권의 상징으로 국가적 문서에 사용하던 임금의 도장. 우리말샘

주2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認證)이 필요한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청인(廳印)과 직인(職印)이 있다. 우리말샘

주3

군대에서 복역하거나 군대의 진영(陣營)에서 부역하는 일. 우리말샘

주4

아무 죄도 없는 사람을 죄가 있는 듯이 꾸며 내어 그 죄를 다스림. 또는 그 옥사. 우리말샘

주5

강요에 의하여 하지 않은 것을 했다고 거짓으로 자백함. 우리말샘

주6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우리말샘

주7

육지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외딴섬. 우리말샘

집필자
차문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