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헌기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논어설』, 『초암집』, 『충서설』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치도(穉度)
요천(堯泉), 초암(初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74년(영조 50)
사망 연도
1842년(헌종 8)
본관
웅천(熊川)
출생지
황해북도 개성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논어설』, 『초암집』, 『충서설』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웅천(熊川). 자는 치도(穉度). 호는 요천(堯泉) 또는 초암(初庵). 개성 출신. 아버지는 예조좌랑 김취행(金就行)이며, 어머니는 청풍김씨(淸風金氏)로 부호군(副護軍) 김욱태(金郁兌)의 딸이다. 조유선(趙有善)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문장에 일가견을 이루었고 경학과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논어설(論語說)』을 지은 한편, 왕수인(王守仁)의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변박하였다. 만년에 개성부의 분교관으로 추대하였으나 취임하지 않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좌부승지로 추증되었고, 개성요천사(堯泉祠)에 봉향되었다. 저서로는 『초암집(初庵集)』·『자정록(自靖錄)』·『남산구고(南山舊稿)』·『제사귀신설(祭祀鬼神說)』·『충서설(忠恕說)』 등이 있다.

참고문헌

『숭양기구전(崧陽耆舊傳)』
『초암집(初庵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