꾀꼬리

목차
관련 정보
꾀꼬리
꾀꼬리
동물
생물
꾀꼬리과에 속하는 새.
내용 요약

꾀꼬리는 꾀꼬리과에 속하는 새이다. 한자어로는 앵(鶯)이라 한다. 세계적으로 꾀꼬리과는 38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있다. 4월 하순에서 5월 초순에 나타나는 여름 철새다. 몸길이는 26㎝ 정도이며, 온몸이 선명한 황금빛이다. 깊은 산속이나 외딴곳, 농촌과 도시의 공원에 이르기까지 여러 곳에서 번식한다. 울음소리는 복잡하면서도 아름다우며, 산란기에는 ‘삣 삐요코 삐요’ 하고 우는 등 다양한 소리를 낸다. 꾀꼬리는 울음소리가 맑고 고우며 새의 모양도 아름다워 예로부터 시가의 소재로 등장했다.

목차
정의
꾀꼬리과에 속하는 새.
내용

우리말로는 ‘ᄭᅬ고리’ · ‘ᄭᅬᄭᅩ리’라고 하였으며, 한자어로는 흔히 앵(鶯 · 鷪)이라 하며, 황조(黃鳥) · 황리(黃鸝) · 여황(鵹黃) · 창경(倉庚, 鶬鶊) · 황백로(黃伯勞) · 박서(搏黍) · 초작(楚雀) · 금의공자(金衣公子) · 황포(黃抱) · 이황(離黃) · 표류(0x9825鶹) 등의 다양한 이칭을 가지고 있다. 학명은 Oriolus chinensis 이다.

전 세계적으로 꾀꼬리과 조류는 38종이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열대지방에 주로 분포하고, 유라시아대륙에는 2종만이 서식한다. 우리 나라에는 1종이 있으며, 흔한 여름철새다. 중국 남부 · 주1 · 버마 · 주2 등지에서 월동하고, 우리나라에 4월 하순에서 5월 초순에 도래하는 꾀꼬리는 심산오지에서 농촌과 도시의 공원에 이르기까지 도처에서 번식한다. 몸길이는 26㎝ 정도이며, 온몸이 선명한 황금빛이다.

눈 앞에서 시작하여 눈 주위를 지나는 부분[過眼線]은 검은 깃털로 이루어져 있는데 뒷머리에서 합해지며 마치 머리에 띠를 두른 모양이다. 날개와 꼬리는 검지만 가장자리는 노란색이다. 부리는 붉은색이며 암컷은 온몸에 초록빛이 돈다. 활엽수와 침엽수 나뭇가지에 둥지를 틀며 5∼7월에 보통 4개의 알을 낳는다.

봄철에는 곤충의 애벌레와 성충, 특히 송충이 등을 즐겨 먹으며, 가을철에는 식물의 열매를 많이 먹는다. 매미 · 메뚜기 · 잠자리 등의 곤충과 거미류 이외에도 버찌 · 산딸기 · 산포도 등을 두루 먹는다.

울음소리는 복잡하면서도 아름다우며, 산란기에는 ‘삣 삐요코 삐요’ 하고 되풀이해서 우는 등 다양한 소리를 낸다. 『물명고』『재물보』에서도 꾀꼬리에게는 32가지의 소리굴림이 있다고 하였다. 꾀꼬리는 울음소리가 매우 맑고 고우며 모양도 아름다워 예로부터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시가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유리왕이 지은 「황조가」가 전하는데 유리왕은 자기의 고독한 처지를 암수의 꾀꼬리가 의좋게 노는 것에 비유하여 노래하고 있다. 이처럼 꾀꼬리는 자웅의 정의가 두터운 새로도 알려져 있다. 고려가요의 하나인 「동동(動動)」월령체의 시가인데 4월의 정경을 노래한 대목에 꾀꼬리가 등장한다. “사월 아니니져 아으 오실셔 곳고리 새여 므슴다, 녹사(錄事)님은 옛 나를 잇고신져 아으 동동다리.” 이처럼 꾀꼬리는 봄철의 정경을 대표하는 새이고 임의 생각을 촉발시키는 새로 인식되었다.

안민영(安玟英)이 지은 시조에도 꾀꼬리가 등장한다. “꾀꼬리 고은 노래 나비춤을 시기마라/나비춤 아니런들 앵가 너뿐이여니와/네곁에 다정타 니를 것은 접무(蝶舞)론가 하노라.” 전라도민요 「새타령」에는 꾀꼬리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저 꾀꼬리 울음 운다. 황금갑옷 떨쳐 입고 양유청청 버드나무 제 이름을 제가 불러 이리루 가며 꾀꼬리루 저리로 가며 꾀꼬리루 머리 곱게 빗고 시집 가고지고 게알 가가 심심 날아든다.” 이처럼 꾀꼬리는 아름다운 모습과 특이한 울음소리가 봄철의 정경과 어울려 인간의 정서를 자극하고 있다.

꾀꼬리는 특히 버드나무와 친근한 듯하다. 「유산가」에 있는 ‘유상앵비편편금(柳上鶯飛片片金)’이라는 구절은 봄철에 버들잎이 새로 피어날 때 그 위를 나는 꾀꼬리의 모양을 묘사한 시구로 널리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되는 글귀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의보감』
『물명고(物名考)』
『재물보(才物譜)』
『규합총서(閨閤叢書)』
『시조문학사전』(정병욱, 신구문화사, 1966)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한국동식물도감』 25-동물편-(원병오, 문교부, 1981)
주석
주1

인도차이나반도의 동부를 차지한 옛 프랑스령 연방. 지금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의 세 독립국으로 되어 있다. 인도와 중국의 중간에 있으며, 지형이 복잡하고 여러 민족이 함께 거주한다. 우리말샘

주2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의 남쪽으로 튀어나온 반도. 남쪽은 말레이시아령(領), 중부 및 동북쪽은 타이령, 서북쪽은 미얀마령이다. 고온 다습한 열대 몬순 기후로, 고무ㆍ목재ㆍ주석ㆍ금 따위의 천연자원이 풍부하다. 면적은 18만 1300㎢.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원병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