끽면공집 ()

목차
관련 정보
강석경의 끽면공집 중 서문
강석경의 끽면공집 중 서문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강석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강석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4책. 활자본. 1920년 7대손 창희(昌熙)·성희(星熙)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내용

제1책의 권두에 신규희(申揆熙)의 발문에 이어 역의문답(易疑問答), 시 11수, 설 1편, 망해도법(望海島法)·발문·제문, 제2책에는 끽면거사전·하렴잡설 상(下簾雜說 上), 제3책에 하렴잡설 하, 제4책에 총단고설(總斷瞽說)·차의자서(箚疑自敍)·총단고설후서·퇴계선생성학십도중제육심통성정도(退溪先生聖學十圖中第六心統性情圖)·율곡선생심성정도·심성정이기오행소속도(心性情理氣五行所屬圖), 책 끝에 진사강석경전(進士姜碩慶傳) 등이 수록되어 있다.

<역의문답>은 ≪주역≫의 내용 중에서 의문점에 대해 문답식으로 서술한 것이다. <망해도법>은 바다 가운데 있는 섬을 바라보고 그 섬의 높이, 육지와 섬의 거리들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한 내용으로, 실학적인 면에도 관심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렴잡설> 상·하에는 <논성명 論性命>·<논태극>·<논생물지도 論生物之道> 등 107편의 글이 실려 있는데, 그 내용은 성리학·음양오행·상수(象數)에 관한 것이 포함되어 있다. <총단고설>은 경전의 내용과 선유들의 이설에 대해 송시열(宋時烈)이 차의한 글에서 72조를 뽑아, 그 득실을 따지고 또 자신의 견해를 밝혀 엮은 것이다.

<심성정이기오행소속도>는 이황(李滉)의 <심통성정도>와 이이(李珥)의 <심성정도>를 비교 분석해, 자신이 구상한 도상(圖象)을 그려놓고 여기에 해설을 추가한 것이다. 규장각도서에 있고, 필사본 ≪끽면와집≫과 ≪끽면와유서별집≫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