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루터 취락 (나루터 )

목차
관련 정보
강경포구 도진취락
강경포구 도진취락
인문지리
개념
하천이나 좁은 수로 또는 해협을 건너기 위한 지점의 나루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취락. 도진취락.
이칭
이칭
도진취락(渡津聚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나루터 취락은 하천·수로·해협을 건너기 위한 지점의 나루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취락이다. 하천·강의 폭이 좁거나 얕아서 건너편과 연락하기 쉬운 교통상의 요지에 형성된다. 교통로와 연결된 도하지점은 사람과 물자의 집합 장소가 되어 객주·주막 등이 많다. 우리나라에서 나루는 서울과 지방 중심지를 연결하는 하천에 발달하였다. 대표적인 나루터 취락으로는 예성강의 벽란도, 한강의 삼전도·노량진 등이 있다. 근래에는 철도 등 육상 교통의 발달로 나루터 기능은 거의 사라졌다. 이와 함께 나루터 취락도 대부분 과거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목차
정의
하천이나 좁은 수로 또는 해협을 건너기 위한 지점의 나루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취락. 도진취락.
개설

입지조건은 하천 · 호수 · 해협 등에서 폭이 좁은 곳이나 얕아서 건너기 쉬운 곳에서 대안(對岸)과 연락하는 교통상의 요지라야 한다. 이와 같은 곳에서는 나루터 취락〔渡津聚落〕이 형성되고 점차 발달하여 대도시로 발전하기도 한다. 특히 하천의 경우, 상류취락 · 중류취락 · 하류취락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하천에 발달한 나루터 취락은 하류 또는 하구에 외항으로 발달한 제2의 취락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하구 취락은 초기에는 하천에 접하여 취락이 형성되어 발달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뒤 선박의 대형화 및 취락의 발달 등에 의하여 직접 만이나 해협에 임한 장소로 뻗어나가서 해항 취락(海港聚落)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형성 배경으로는 나루터에는 화객(貨客)을 이동하기 위하여 도선장(渡船場) · 계선장(繫船場) · 주막 · 여인숙 및 여관 · 상가 등이 입지함으로써 취락이 발생한다. 평소에는 화객의 중계점에 불과하나 하천이 범람할 경우 많은 시일을 지체할 때도 있으므로 큰 하천일수록 나루터 취락의 규모는 커진다.

교통로와 연결된 도하지점은 사람과 물자의 집합장소가 되기에, 사람과 물자를 도하시켜주는 일을 업으로 유지하는 사공이 상주하며, 여객에게 숙박과 식사를 제공하는 객주 · 주막 등이 많아진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서울과 지방 중심지를 연결하는 대로를 가로지르는 서해사면의 하천에 나루가 잘 발달하였다. 그러나 교통량이 많은 나루터는 교량이나 철도의 건설로 나루터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

내용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나루터 취락으로는 예성강벽란도(碧瀾渡), 한강삼전도(三田渡) · 노량진 · 양화진(楊花津), 낙동강왜관 · 삼랑진, 금강의 강경, 영산강영산포 등이 있다.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과 남해군 설천면 간의 좁고 긴 수로를 끼고 하동노량 · 남해노량이 있고,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과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간에도 좁은 청미천(淸美川)을 경계로 하여 두 도 사이에 나루터 취락이 형성되었다.

또한 국경 도시인 압록강의 신의주와 중국 안둥〔安東〕도 나루터 취락을 이루고 있다. 하천 외에도 좁은 해협에 임한 강화도 · 안면도 · 완도 · 거제도 · 진도 · 돌산도 및 목포 앞바다의 다도해 섬들 사이에도 많은 나루터 취락이 발달하였다. 우리나라 나루터 취락의 대부분의 지명에는 물의 의미가 포함되는 도(渡) · 진(津) · 포(浦)가 붙는 것이 일반적이다.

벽란도는 경기도 개풍군과 황해도 연백군과의 사이를 흐르는 예성강 하류 양안에 있으며, 고려 때는 개경의 외항 구실을 하던 하항이었다. 벽란도는 한때 전국의 상업 중심지를 이루어 크게 번창하였으나 경제 중심지가 개성에서 서울 · 부산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기능이 쇠퇴하였다.

또한, 한강의 삼전도 · 노량진 · 양화진은 나루터로 유명하였으나 교량의 가설로 쇠퇴하였다. 낙동강의 삼랑진은 경전선이 통과함에 따라 하나의 통과역으로 쇠퇴하였고, 금강에 입지한 강경의 나루터 기능은 호남선 철도의 개통과 함께 쇠퇴하였다. 하동 노량의 기능은 한동안 구노량에서 신노량으로 옮겨졌으나, 남해대교의 가설로 나루터 이름만 남아 있을 뿐 나루터 취락의 기능은 사라져버렸다. 이와 같은 교량의 설치로 강화도 · 안면도 · 완도 · 거제도 · 진도 · 돌산도의 나루터도 쇠퇴하였다.

신의주의 경우도 오늘날 교량이 건설되고 철도가 부설됨으로써 ‘나루’는 부수적인 교통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이에 반하여 목포 앞의 무안군도에는 나루터의 기능이 활발하여 교통의 중심을 이루며, 나루터 취락은 그 지역의 경제 · 상업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근래 들어 대하천의 하류에 하구둑이 건설됨에 따라 강과 바다의 교통이 단절되었고, 철도를 비롯한 육상교통이 발달함에 따라 과거에 융성했던 나루터 기능은 거의 사라졌으며, 이와 함께 나루터 취락도 대부분 과거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변모하였다.

참고문헌

『취락지리학』(오홍석, 교학연구사, 1989)
『취락지리학』(이영택, 대한교육련합회, 1972)
「20세기초 금강 수운 성쇠의 지역사회경제사적 의의」(김민영, 『지역발전연구』6, 2006)
「금강수운중계하항의 변천에 관한 연구-강경을 중심으로-」(나도승, 『공주교육대학논문집』19,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