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홍기종 가옥 ( )

목차
관련 정보
나주 홍기종 가옥 전경
나주 홍기종 가옥 전경
주생활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조선후기 풍산홍씨 관련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조선후기 풍산홍씨 관련 주택. 시도민속문화재.
내용

1986년 전라남도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마을 어귀에 심은 커다란 정자나무를 지나 대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마을 깊숙한 곳에 있는 집이다. 안채는 19세기 말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상량문에는 “기성동도(箕聖東渡) 3051년…”이라 기록되어 있다. 사랑채는 상량문에 단기 4280년으로 기록되어 있어 1947년에 건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안채가 남향하여 자리하고 안채의 서쪽으로 아래채가 놓여 있다. 안마당의 동쪽과 남쪽에는 광채와 헛간채를 각각 배치하고 서쪽에 사랑채를 배치하였다. 사랑마당에 2단의 석축을 쌓아 사랑채를 앉혔으며 그 맞은 편에 초가지붕을 한 5칸 규모의 문간채가 있고 사랑마당 남쪽에는 조그마한 연못이 있다. 사랑채 남쪽으로는 계단을 놓아 안마당으로 유도하고 있으며 사랑채 북쪽의 중문을 통하여서도 안채로 진입할 수 있게 계획되었다.

안채는 一자형 4칸 전후좌우퇴집으로 가운데 2칸과 후퇴에는 쪽마루를 덧붙여서 사용하고 있으며, 서쪽의 부엌은 후퇴 뒤쪽으로 반칸을 더 내밀어 2칸반 크기의 커다란 부엌이 되었다. 부엌 다음으로 큰방, 대청, 작은방의 순으로 배치되었고 우퇴는 광으로 되어 있다. 2벌대 높이의 막돌 허튼층기단 위에 네모꼴의 잘 다듬어진 주춧돌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웠다. 구조는 2고주 5량으로 납도리를 걸친 팔작지붕 건물이다.

사랑채는 一자형 4칸 전후좌퇴집으로 평면의 간살이는 북쪽으로부터 방, 방, 대청, 방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2벌대의 면석을 쌓아 만든 기단에 원형으로 다듬은 초석을 놓았는데, 전면에 보이는 부분은 두리기둥을 세우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웠다. 구조는 2고주 5량으로 기둥 위에 창방을 걸치고 소로를 끼워 굴도리 아래의 장혀를 받치고 있다. 보 밑에는 보아지를 끼웠으며 팔작지붕 건물이다.

아래채는 전퇴있는 3칸집으로 팔작지붕 건물이며 예전에는 여자사랑채로 쓰였다고 한다. 사랑채와 나란히 자리잡고 있으나 정면이 향하는 방향은 정반대이다. 즉 사랑채는 안마당을 등지고 사랑마당을 바라보고 있고, 아래채는 안마당 옆의 안채를 보고 있어서 그 모습이 이채롭다. 두 건물 사이에 조그만 협문을 두었다.

광채는 一자형 평면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우진각 지붕 건물이다. 예전에는 이 건물에 방을 들여놓고 많은 자식들이 출가하기 전까지 각 방에서 기거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나주시문화재도록』(나주시, 2000)
『나주시의 문화유적』(국립목포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나주시, 1999)
『전남의 전통건축』(천득염, 전남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 1999)
『문화재도록』(전라남도, 199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천득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