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도가 ()

고전시가
작품
고려 후기에 나옹(懶翁)이 지은 불교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나옹(懶翁)이 지은 불교가사.
구성 및 형식

4·4조와 3·4조가 주조이나 파격도 눈에 뜨이며, 4음보 1구로 하여 140여구로 비교적 단형이다.

내용 및 평가

오랜 시대를 거치는 동안 변형되어 채집된 것이 『고가요집주(古歌謠集註)』에 수록되었다. 진세속사(塵世俗事)를 떠나 심산유곡 깊은 절에 들어가 청풍명월을 벗삼아 불도에 정진하는 즐거움을 노래한 것이다.

내용상으로 보아 유가(儒家)들이 지은 「처사가(處士歌)」와 비슷한 점이 많이 있어 하나의 ‘은둔 불교가사’라고도 할 수 있다. 어수선하였던 고려 말기의 사회상과, 특히 나옹의 말년의 신병(身病)은 그로 하여금 조용히 낙도왕생(樂道往生)의 심전(心田)을 싹트게 하였고, 그 심정을 노래로 읊었을 것이다.

그 가사가 구두로 전송되어오다가 훈민정음 창제반포 훨씬 뒤에 국한문혼용체로 세상에 나왔을 것이다. 다른 구두전승의 시가작품류처럼 그 내용 서술상에 약간 손질이 있었으리라고 믿어진다.

참고문헌

『한국불교가사전집(韓國佛敎歌辭全集)』(이상보, 집문당, 1980)
『한국가사선집(韓國歌辭選集)』(이상보, 집문당, 1979)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 외, 정연사, 1961)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작품과 가사발생연원고찰」(김기탁, 『영남어문학』 3, 영남대학교, 1976)
「나옹(懶翁)과 그의 가사(歌辭)에 대한 연구(硏究)」(김종우, 『부산대학교논문집』 17,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