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원가 ()

고전시가
작품
고려 후기에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지은 불교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나옹화상(懶翁和尙)이 지은 불교가사.
구성 및 형식

필사본. 전편 405구. 이두문자 표기의 특이한 가사이다. 그 내용은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하는 덧없고 숙명적인 인생들은 세상잡사를 잊고 탐욕을 벗어나 부처님에게 귀의하여 예불염불(禮佛念佛)로써 수도정진하여 서방정토로 가자는 노래이다.

가사 전편에 ‘주인공 주인공아(主人公 主因公我)’라는 구절이 5절이 있으므로 그것을 서두로 볼 때 이 노래는 5문절(5연)로 볼 수 있는데, 그 중 2문절이 가장 짧고, 3·4·5문절은 길며, 1문절은 중간이다.

내용

이 가사는 1371년(공민왕 20)신득청(申得淸)이 지었다는 「역대전리가(歷代轉理歌)」와 함께 이두표기의 쌍벽을 이루는 시가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고려 말기에 구두전송에서 이두로 정착, 표기되고, 조선에 들어와 한글 또는 국한문 혼용으로 표기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가사는 시가문학, 특히 가사문학상의 가치뿐만 아니라, 이두연구와 어학연구에도 큰 도움이 된다. 김종우가 부산 동래의 조정제의 집에 비장되어 있는 것을 최초로 발굴, 소개하였다. 김종우는 그의 논문 「나옹화상 승원가」(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 10집, 1971)에 가사 원문 전부를 국문으로 풀이해 놓았다.

참고문헌

『한국 불교가사 전집』(이상보, 집문당, 1980)
『한국 가사문학의 연구』(이상보, 형설출판사, 1974)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 외, 정연사, 1961)
「나옹화상 승원가」(김종우, 『국어국문학』 10, 부산대학교,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