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유집 ()

목차
관련 정보
배장준의 남강유집 중 권수면
배장준의 남강유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배장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배장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그의 아들 상규(祥奎)의 편집을 거쳐, 1936년 손자인 낙도(洛圖)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중철(李中轍)·박현구(朴顯求)·이재성(李在性) 등의 서문과 권말에 김헌주(金獻周)·박현채(朴顯埰)·남광진(南光鎭)·장원환(張元煥)·배용도(裵龍圖) 등의 후서를 실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등에 있다.

권1은 선계(先系)·후곤(後昆), 권2는 부(賦)·시·서(書)·기·잠(箴)·명·논, 권3은 찬(贊)·잡저·상량문·행장·제문, 권4·5는 부록으로 행장·묘지명·묘갈명·유사·기문록(記聞錄)·만사·제문·남강정사기(南岡精舍記)·남강찬(南岡贊) 등이 실려 있다.

부의 「유관팔도(遊觀八道)」는 우리나라 팔도강산을 두루 돌아보고 각 도의 풍속을 간결하게 평한 것이다. 「도학론(道學論)」은 도학, 즉 유학 전래의 계통을 설명하고, 그 나라의 흥망성쇠가 도학이 밝고 밝지 못한 데 따라 좌우된다는 내용의 논설이다.

「삼강론(三綱論)」은 유교의 도덕에 있어서 바탕이 되는 세 가지 강령에 대해 지켜야 할 도리인 충·효·열에 관한 옛날 사람들의 행적을 들어 말하고, 세상의 치란(治亂)과 또한 가정·국가의 흥망이 삼강의 도가 있고 없는 데 달려 있다는 논설이다.

잡저의 「남강정사설(南岡精舍說)」은  경상북도 군위의 적라산(赤羅山) 밑에 초당을 짓고 학문을 연구하면서 주변의 자연을 묘사한 명문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