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병집 ()

목차
관련 정보
정박의 남병집 중 권수면
정박의 남병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아들 세구(世求)의 편집을 거쳐, 1753년(영조 29) 문인인 이주정(李周禎)·이종주(李宗周) 등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권말에 이종주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는 시·애사·뇌문(誄文)·서(書), 권3은 서(序)·기·제문·상량문·행장, 권4는 부록으로 행장·만사·제문 등이 실려 있다.

시는 고시·오언절구·칠언절구·오언율시·칠언율시·배율·행(行)·만사(輓詞)의 순으로 배열되었으며, 주로 한제영(閒題詠)·창수(唱酬) 및 당운(唐韻)을 염출(拈出)해 읊은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여흥이 있으면 거문고를 타고 퉁소를 불어서 그 강개한 심회를 달래기도 하고, 긴 휘파람과 큰 소리로 노래를 불러 그 막히고 답답한 기운을 풀어본 시가 군데군데 보인다.

「취성당팔경(醉醒堂八景)」은 대주(對酒)·권주(勸酒)·음주(飮酒)·취주(醉酒)·시주(詩酒)·가주(歌酒)·면주(眠酒)·성주(醒酒) 등을 제목으로 취성당을 시주자오(詩酒自娛)에 부쳐 표현한 작품이다. 만사에는 김종구(金宗九)·권순(權淳)·이상정(李象靖)·김종경(金宗敬)·김용보(金龍普) 등 당대의 유명한 인사들에 대한 것이 많다.

서(書)는 친지인 김종덕(金宗德)·이유수(李維秀)·김도행(金道行)·이종화(李宗和) 등과 주고받은 서한으로, 대부분이 학문에 관한 논설과 산수에 대한 취지를 논하고 있다.

기의 「독소문기(讀蘇文記)」는 소식(蘇軾)의 『동파집(東坡集)』을 읽고 소감을 쓴 것이다. 동생인 소철(蘇轍)과 함께 그 아버지이자 스승인 소순(蘇洵)에게 탁월한 문장재주를 배웠기 때문에 그 학술은 대가 같으나 그 웅걸하고 평담(平淡)한 것이 다른 점은 기품의 차이라고 논평하였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