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악집 ()

목차
관련 정보
성진교의 남악집 중 권수면
성진교의 남악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성진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성진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35년 후손 수용(壽鏞)이 편집, 간행하였다. 기록이 없어 저자의 생몰년을 알 수 없으나, 기정진(奇正鎭)과 주고받은 서신 내용의 연도로 보아 순조∼고종연간으로 추정된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2편, 시 107수, 권2에 봉사(封事) 1편, 권3에 서(書) 14편, 잡저 4편, 권4에 서(序) 2편, 기(記) 6편, 발(跋) 2편, 축문 1편, 제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상봉사(擬上封事)」는 모의 작품으로 1849년(헌종 15) 시폐의 개혁을 촉구한 것인데, 면성학(勉聖學)·숭절검(崇節儉)·개언로(開言路)·입기강(立紀綱)·심선거(審選擧)·명정학(明正學)·찰민은(察民隱)·수군정(修軍政) 등 8개 조항을 열거해 각 조항마다 시정의 개혁할 문제와 제세안민(濟世安民)의 방책에 대한 견해를 상세히 피력하고 있다.

서 중에서 서화가인 강진(姜溍)과 주고받은 서한은 그로부터 선물 받은 화첩에 대한 품평이다. 그는 이 작품을 매우 절품(絶品)이라고 극찬하면서 필법(筆法)이 그림보다 좋고 사격(詞格)이 또한 필법보다 높다고 평하였다.

잡저 중에서 「독응도기(讀凝道記)」는 중국 명나라 때의 송렴(宋濂)이 지은 『응도기』를 읽고 독후감을 쓴 것이다. 이 책의 내용 중에 중국의 유자(儒者)인 동중서(董仲舒)·왕통(王通)·한유(韓愈)·양웅(揚雄) 등에 대한 평론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하면서 그 나름대로 평론한 것인데, 노장학(老莊學)과 불교를 배척한 그의 사상이 나타나 있다.

「고문상서변(古文尙書辨)」은 『상서』의 고문에 대한 변론으로, 구양수(歐陽修)가 고문을 위서(僞書)라고 한 것은 큰 실책이라고 지적하고, 문체로 보아 금문(今文)보다 고문이 확실성 있음을 주장하였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