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지기로회도 ()

목차
회화
작품
문화재
1629년 홍첨추(洪僉樞)의 집에서 베풀어졌던 기로(耆老)들의 모임을 사실적으로 도회한 기록화.
목차
정의
1629년 홍첨추(洪僉樞)의 집에서 베풀어졌던 기로(耆老)들의 모임을 사실적으로 도회한 기록화.
내용

1992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종이 바탕에 채색. 세로 37.3㎝, 가로 204㎝. 1629년(인조 7) 6월 5일 남대문 밖 관지(官池) 근처에 있던 홍첨추(洪僉樞)의 집에서 베풀어졌던 70세 이상된 기로(耆老)들의 모임을 사실적으로 도회한 필자 미상의 기록화이다.

이 그림은 대구 서씨 집안에서 19세기경에 화첩 형식으로 개모하여 보관해 온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횡권(橫卷)으로 개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연회에 참가한 기로는 이인기(李麟奇)·윤동로(尹東老)·이유간(李惟侃)·이호민(李好閔)·이권(李勸)·홍사효(洪思斅)·강인(姜絪)·이귀(李貴)·서성(徐渻)·강담(姜紞)·유순익(柳舜翼)·심론(沈惀) 등 12명이다. 가선대부 청평군(嘉善大夫靑平君) 심론은 당시 68세였음에도 불구하고 낙양기로회(洛陽耆老會) 적겸예(狄兼譽)의 고사를 따라 참가하게 되었다.

작품은 전서체(篆署體)의 제목, 기로회 장면, 좌목(座目: 서열을 적은 목록), 예조 참판 이경직(李景稷)의 서문, 장유(張維)의 지문(識文), 1691년(숙종 17) 12월 11일자로 된 박세당(朴世堂)의 기문(記文)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좌목은 이날 연회의 좌차(座次)를 따라 나이 순으로 배열되었으며 부친을 동반하여 함께 참석한 자제들의 성명 관직도 아울러 기재되어 있다.

이경직은 기로 중의 한 명인 이유간의 아들로 회사(繪事)를 주관하였으며 좌목은 그의 동생인 좌부승지 이경석(李景奭)이 기록하였다. 박세당의 글에 의하면 원래는 기로의 수대로 12본을 제작하여 각자 집에 1본씩 보관하였으나 박세당이 기문을 쓴 당시에는 이미 11본이 산실되고 오직 이인기의 5세손이 1본을 보관하고 있었다고 한다. 박세당은 바로 이 그림을 보고 기문을 지었다는 것이다.

한편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의 <남지기로회도>는 계축(契軸) 형식으로 화면 우측 하단에 ‘李起龍寫(이기룡사)’라고 쓰여 있어서 이를 통해 그림의 원작자를 알 수 있다.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의 <남지기로회도>와 비교해 보면 내용은 동일하나 하나의 소실점을 향해 배열된 서까래의 방향, 건물 및 인물의 형식화된 이중의 윤곽선 처리 등 입체감을 의식한 표현에서 시대적인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 및 조선왕조의 문인계회와 계회도」 (안휘준, 『고문화』20,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82)
집필자
박정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