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창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정제의 남창문집 중 권수면
정제의 남창문집 중 권수면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2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 후손 기범(基範)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돈우(李敦禹)의 서문과 권말에 이학래(李鶴來)의 발문을 실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은 부·시·악부(樂府), 권2는 서(書), 권3은 서(序)·기, 권4는 발·명·잡저·축문·제문·뇌문(誄文), 권5는 묘표·묘갈명·비명·행장·유사·가장(家狀), 권6은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가장·묘갈명·창대서원종향문(昌臺書院從享文) 등이 실려 있다.

「등고구부(登高丘賦)」는 우주대자연의 섭리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의 흥망 및 문물의 변천과정을 열거, 인생을 자연의 추이에 맡겨가면서 살겠다는 서정적인 감정이 풍부하게 표현된 작품이다.

시는 꾸밈을 일삼지 않고 맑고 깨끗한 아취로 일가견을 이루었다. 특히, 5언 150구로 된 「남정(南征)」은 그의 회갑년인 1749년(영조 25) 경주의 고적, 양산의 통도사, 동래의 온천, 부산의 해운대 등을 열흘간에 걸쳐 두루 돌아보고 자연의 아름다움과 고적을 소개한 시로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다. 또한, 악부에는 악장가사를 본받아 지은 것으로 「임우(霖雨)」·「관서(觀書)」·「숙천곡사(宿泉谷寺)」 등 5편이 들어 있다.

서(書)에는 스승인 정만양(鄭萬陽)·정규양(鄭葵陽)과 왕복한 서한으로 『예기』와 예설에 관한 문목이 들어 있으며, 또한 이상정(李象靖)·정중기(鄭重器)·정간(鄭幹) 등과 학문을 논한 것이 들어 있다.

잡저의 「구방심설(求放心說)」은 학문을 하는 방법은 방심을 찾는 데 있으며, 마음을 가다듬지 않으면 다른 사물에 끌리어 마음이 본체를 잃게 된다는 해설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