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갑사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궁중의 숙위 또는 왕의 시위를 담당하였던 갑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숙위 또는 왕의 시위를 담당하였던 갑사.
내용

1402년(태종 2) 갑사 가운데 의용(毅勇)한 자 300인을 선발하여 내갑사라 칭하고, 이숙번(李叔蕃)과 연사종(延嗣宗), 조연(趙涓)과 한규(韓珪)로 각각 반씩 통솔하여 좌우위(左右衛)로써 궐내의 별침을 시위하게 하였다.

구성은 갑사 중의 정예군으로 생각되나 때로는 갑사를 숙번(宿番) 편의에 따라 나눈 조직상의 명칭으로 보이기도 한다.

즉, 전체 갑사를 내갑사 400인, 외갑사 600인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좌·우·중군으로 구별하여, 좌·우군에는 각각 내갑사 200인, 외갑사 200인씩을, 중군에는 외갑사만 200인을 두어 삼번(三番)하게 하는 편제가 바로 그것이다. 종합해 보면, 전자의 성격에서부터 후자의 성격으로 발전하였다고 생각된다. →갑사(甲士)

참고문헌

『태종실록(太宗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선초(鮮初)의 갑사(甲士)에 대하여」(차문섭, 『사총(史叢)』4, 195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