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면천첩 ()

목차
관련 정보
노비문서
노비문서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기민 구제를 목적으로 발행된 노비면천의 증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기민 구제를 목적으로 발행된 노비면천의 증서.
내용

납속한 천인에게 면천해주면서 발급한 문서다. 초기에는 기민 구제를 위한 순수한 의미에서의 납속에 대해 그 반대급부로서 면천을 시켜주는 형태였다.

그러나 여기에서 발전해 면천을 전제로 한 납속이 이루어지고 마침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면천첩이 발행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면천첩의 발행이 언제부터 일반화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임진왜란중 이미 공공연히 매매되었음이 나타나고 있다.

즉, 임진왜란 당시 서울에서 지방으로 순찰하러 내려가는 고관들은 항상 공명고신첩(空名告身帖)·면역면천첩(免役免賤帖)을 휴대하고서 식량이 필요한 때나 유사시에 대비하였다고 한다.

또한, 1596년(선조 29) 정월과 2월에 실시된 모곡정책에서는 각 500장의 모속첩(募粟帖)마다 50장씩의 면천첩이 발행된 사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면천첩은 양란 후 어느 정도 사회가 안정되자 사용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1677년(숙종 3) 진휼청당상 오정위(吳挺緯)의 청에 의해 교생면강첩(敎生免講帖)과 노비면천첩의 이름으로 다시 발행되었다.

이는 신분질서 유지를 위해서는 면천첩 발행이 바람직하지 않으나 현실적으로는 계속되는 기근과 재해 때문에 발행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면천첩의 표준 가격은 납속면천을 기준으로 볼 때 나이에 따라 15석 내지 25석, 많으면 50석 가량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비면천첩은 조선 후기 신분제 동요의 한 요인이 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
『숙종실록』
『서애집(西厓集)』
『승정원일기』
『조선후기노비제연구』(平木實, 지식산업사,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