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권 3책. 목활자본. 1930년 아들 유기(裕基)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1925년에 이치호(李治鎬)가 쓴 서문과 1930년에 송병관(宋炳瓘)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그의 문하생인 최재현(崔縡玄)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3은 시 19수, 서간(書簡) 23편, 권4는 잡저로 만록 43조, 심기질변(心氣質辨) 등 7편, 서(序) 9편, 기(記) 2편, 제발 4편, 명(銘) 4편, 권5는 제문 10편, 고축(告祝) 2편, 묘갈 2편, 묘표 3편, 권6은 행장 7편, 전(傳) 4편, 권7은 부록으로 송병화(宋炳華)가 지은 묘갈명, 한서교(韓序敎)가 쓴 행장, 주봉천(朱鳳千) 등의 제문 7편이 실려 있다.
대부분이 문(文)으로서, 임헌회를 사사하면서 당시의 제현들과 학문에 대한 토론을 서신으로 주고받은 것이 많다. 서(序) 가운데 「주자경어서(朱子儆語序)」는 『주자대전』·『주자어류』 중의 경어(儆語)를 발췌하여 ‘주자경어’라 이름하고 붙인 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