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문회 ()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문신 · 문장가 유몽인이 당송팔가문 가운데에 한유와 유종원의 글만을 취하여 1606년에 간행한 고문선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문신 · 문장가 유몽인이 당송팔가문 가운데에 한유와 유종원의 글만을 취하여 1606년에 간행한 고문선집.
서지적 사항

21권 11책. 목판본.

편찬/발간 경위

1606년(선조 39년)에 작자가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로 있을 때에 엮은 것이다. 황해도(黃海道)해주(海州) 목사 윤휘(尹暉)의 후원으로 간행되었다.

내용

≪대가문회≫는 ≪좌전 左傳≫(4권)·≪국어 國語≫(2권)·≪전국책 戰國策≫(2권)·≪사기 史記≫(3권)·≪한서 漢書≫(3권)·≪한문 韓文≫(4권)·≪유문 柳文≫(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당송팔가문 가운데에 한유(韓愈)와 유종원(柳宗元)만을 취하였다.

선진양한(先秦兩漢)의 글을 위주로 하였다. 각 권은 고문가의 전집 형태를 취하였다. 유몽인은 고문 가운데서 당송고문을 비판하고 선진양한 산문을 전범으로 삼아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명대 의고파(擬古派) 문인인 왕세정(王世貞)에게서 높은 평가를 받았던 왕도곤(王道昆)의 ≪부묵 副墨≫을 읽었다.

“왕세정과 이반룡(李攀龍)을 모방하였다. 그러나 웅호(雄豪) 주건(遒健)한 기운에다 고고(高古)한 것을 채웠다. 앞 뒤 백여 편이 한마디도 당송(唐宋)에 구애된 것이 없다. 명유(明儒)의 뜻세움이 고상(高尙)한 것은 실로 본받을 만하다.”고 격찬하였다.

유몽인은 ≪대가문회≫의 문장들을 자신의 뜻대로 모았다. 그리고 ≪문선 文選≫·≪숭고문 崇古文≫·≪고문진보 古文眞寶≫ 등의 옛 책처럼 제목에 따라 자집(子集)에서 취하지를 않고서 일가(一家)마다 권을 전적으로 배정하여 초록해서 모의(摸擬 : 실제의 것을 흉내 내어 그대로 해 봄. 또는 그런 일)에 편리하게 하였다고 서문에 적었다.

유몽인은 전(箋)을 세 번 베꼈다. 중국의 병부상서 석성(石星) 등이 산절한 것을 토대로 산절하였다고 하였다. ≪전국책≫을 선한(뽑은) 것은 억양(抑揚)·합패(闔椑)·굴기(崛奇)하여 문기(文氣)에 보탬이 되기 때문이다.

유종원의 글을 뽑은 것은 정경(精勁)하고도 옛스럽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구양수(歐陽脩)와 소식(蘇軾)의 글은 세상에 많지만 자신은 한번도 그 문호를 엿보지 않았다고도 하였다.

유몽인이 인조반정 때에 주사(誅死 : 죄인으로 죽음.)된 뒤에도 이 책은 널리 읽혔다. 장옥(場屋 : 과거 시험장에서, 햇볕이나 비를 피하여 들어앉아서 시험을 칠 수 있게 만든 곳)에서 매문(賣文 : 돈을 벌기 위하여 글을 써서 팖.)을 하던 주부(主簿) 이진(李進)이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의 글과 유종원 글 가운데에 유몽인이 취하지 않았던 것을 더 보충하고 산절한 ≪산보대가문회 刪補大家文會≫가 평양에서 간행되었다.

신혼(申混)이 쓴 <서산보대가문회후 書刪補大家文會後>라는 제발(題跋)이 전한다. ≪대가문회≫는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와 강세황(姜世晃) 후손가에 현전한다.

참고문헌

『어우집(於于集)』
『초암집(初庵集)』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