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표지는 만자무늬(卍字紋)의 능화문(綾華紋)으로 된 약간 누런 빛깔의 장지(壯紙)이다. 장혼은 필서체(筆書體)의 소형 목활자를 만들어 많은 서적을 간행하였다. 이 책은 장혼의 목활자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다.
『당률집영』의 권수(卷首)는 「범례(凡例)」로 시작한다. 「범례」는 모두 4개조로 되어 있다. 범례 아랫쪽에는 ‘신평한선덕명숙지인(新平韓宣德明叔之印)’이라는 음각(陰刻)으로 된 네모난[方形, 방형] 붉은 도장[朱印, 주인]이 찍혀 있다.
범례의 첫머리에서 책이름을 ‘집영(集英)’이라 한 연유에 대하여 “시는 말의 영화이고 율시는 시 가운데 영화이다. 그것을 선함에 또한 율시 가운데 영화이므로 앞면에 집영이라고 하였다.”고 적었다.
『당률집영』의 「범례」에 따르면, 이 책은 당(唐)의 시대를 초(初) · 중(中) · 성(盛) · 만(晩)의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만당은 시편이 많아 상하로 구분하였다. 작자명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원 제목 아래 별도의 주를 달아 두었다.
기왕의 선집에 많이 수록된 시에는 본문의 변란 밖에 두주(頭註)를 달아 권(圈) 속에 품(品) · 해(解) · 취(吹) · 수(髓) · 직(直) · 귀(歸) · 체(體) 등이라고 표시하여 놓았다. 장혼이 처음 선(選)한 것은 아무 권 표시를 하지 않았다.
『당률집영』 범례의 뒷면에 표제지(標題紙)가 있다. 중앙에 대형 목각 연자(連字)로 ‘唐律集英(당률집영)’이라는 책이름을 두었다. 좌측하단에 활자로 ‘庚午活印(경오활인)’이라고 하였다. 1810년에 인쇄했음을 알 수 있다. 제1책의 권1은 ‘초 · 성당’, 권2는 ‘중당’이다. 제2책은 ‘만당’을 상하로 나누었다.
『당률집영』은 당시인(唐詩人) 159명의 작품 중에서 우수한 율시만 선별한 것이다. 장혼이 『시종(詩宗)』을 편찬하기 이전에 예비적인 작업으로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활자본에는 서문이 없다.
장혼의 문집인 필사본 『이이엄집(而已广集)』 제4책에 「당률집영서」가 남아 있다. 1809년에 장혼 자신이 중국의 여러 시선집들을 참고하고 그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 편찬한 책임을 알 수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육당문고(六堂文庫)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