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파계사 건칠 관음보살 좌상 및 복장유물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파계사 원통전(圓通殿)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파계사 원통전(圓通殿)에 있는 조선시대의 보살상.
개설

198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08.1㎝. 정교한 연주문(連珠文)과 세밀한 꽃무늬가 화려하게 새겨진 높다란 보관을 쓰고 있다. 이는 고려 이래의 전통을 계승한 14세기 말∼15세기 초의 특징을 보여준다.

내용

양감 있는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오밀조밀하지만 박력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보관과 함께 문경 대승사 금동보살상과 비슷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상체는 장대하고 어깨는 둥글면서도 당당하다. 가슴도 젖가슴의 양감은 없지만 건장한 편이어서 역시 조선 초기의 양식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오른발을 위로 한 길상좌(吉祥坐: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은 다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에 놓은 모습)의 자세로 앉아 있는 이 보살상은 건장하고 당당한 모습이다. 오른손은 들어 엄지와 중지(中指)를 맞대었다. 그리고 왼손은 내려 엄지와 중지를 맞댄 이른바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짓고 있어서 아미타협시보살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불의는 두께 있는 통견의(通肩衣)를 입고 있다. 옷 주름이 간결하지만 전체적으로 장중한 편이다. U자형으로 넓게 벌린 가슴에는 승각기가 가슴 위로 많이 올려져 수평을 이루었다. 그와 동시에 띠 매듭으로 규칙적 주름을 지게 묶고 있다. 이러한 승각기 표현은 왼쪽 팔꿈치의 W자형 옷주름과 함께 조선 초기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1394년(태조 3)의 영덕 장륙사 건칠보살상(盈德莊陸寺乾漆菩薩像)이나 문경 대승사 금동보살좌상 등과 비슷하다. 더 내려가면 1464년(세조 10)의 원각사탑 부조상과 1476년(성종 7)의 무위사 벽화 및 불상 등과 상통한다. 특히 가슴과 팔·다리 등에 화려하고 번잡하게 장식하고 있는 영락(瓔珞) 장식들도 영덕 장륙사 건칠보살상 등에 나타나는 이 시기의 특징인 것이다.

이 보살의 복장기(腹藏記)에 적힌 1447년(세종 29)에 중수하였다는 기록은 조성 시기의 하한을 알려주고 있다. 실제 제작 연대는 14세기 말 아니면 15세기 초의 조선 초기 보살상으로 판단되며, 이 시기 보살상의 특징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주목된다.

참고문헌

『국보』1 증보판 상(정영호 외 편, 예경산업사, 199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문명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