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성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의 정3품 당상관직.
이칭
이칭
사장(師長)
제도/관직
소속
성균관(成均館)
내용 요약

대사성(大司成)은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의 정3품 당상관직이다. 조선시대 최고의 교육기관인 성균관의 장(長)으로 정원은 1명이다. 성균관은 유학(儒學) 교육을 책임지던 기관이었던 만큼 대사성은 문과(文科) 출신이 임명되었다. 대사성은 유생(儒生)들을 지도하고, 성균관 내 행정 업무를 관리하였으며, 관시(館試) 운영에 참여하였다. 또한 문묘(文廟)에서 열리는 석전제(釋奠祭)를 준비하고 아헌관(亞獻官)으로 참여하였다.

정의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의 정3품 당상관직.
설치 목적 및 변천

조선시대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成均館)의 장(長)으로 정3품 당상관직이며, 정원은 1인이다. 성균관은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국학(國學)이라 하며 주1 혹은 주2이라고도 하였다. 성균관이라는 명칭은 고려 충렬왕 때부터 사용하던 것을 이어 받은 것이다. 조선을 건국한 후 한양에 새로 짓기 시작하여 1398년(태조 7)에 완성되었다.

대사성은 고려 말 공민왕 대에도 정3품 관직이었으며, 정원은 1명이었다. 조선이 건국된 뒤 성균관 직제가 『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법제화되기 전까지 그 명칭과 인원의 변화가 잦았던 데 비해 대사성은 큰 변화와 조정은 없었다. 다만, 정3품의 관품이 1466년(세조 12)에 정3품 당상관으로 승격되었고, 이대로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1658년(효종 9)에 산림직으로 좨주(祭酒)가 정3품 당상관으로 설치되면서 대사성은 좨주와 함께 성균관 최고의 관직 지위를 공유하게 되었다. 좨주에 명망 있는 산림이 임용되었던 만큼 상대적으로 대사성의 위상은 축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대사성은 유학(儒學) 교육의 임무를 책임지던 성균관의 장이었기 때문에 문관(文官)을 임명하는 규정이 있었으며, 실제로 문과(文科) 출신이 임명될 수 있었다. 성균관은 풍속 교화와 인재 양성의 최고 교육기관이었고, 그 막중한 임무가 대사성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법제적인 자격과 더불어 자질도 임용에 중요한 요소였다.

대사성은 경학(經學)에 능통하고, 어질고 덕이 있으며, 나이와 경험이 많은 인물이 임용되었다. 대사성을 임명할 때에는 자격과 자질을 가진 관리로 ‘사유록(師儒錄)’을 작성하여 여기에 등재된 인물 중 삼망(三望) 혹은 단망(單望)으로 임명하거나 왕이 주3를 통해 발탁하기도 하였다.

대사성을 임명할 때 당시 국왕의 성향과 정치 세력의 동향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이는 성균관이 예비 관료들을 교육하는 기관으로 정치 세력 기반 확장에 중요하였기 때문이다. 대사성은 당상관이기 때문에 근무 일수를 채워서 승진하는 순자법(循資法)을 적용받지 않았다. 다만 관직의 중요성 때문에 성균관 정5품 직강(直講) 이상은 주4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대사성의 임기도 구임으로 하였는데, 이는 성균관 교육의 발전을 위한 조처였다. 그렇지만 실제 임기는 그리 오래 유지되지 않았으며, 이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심화하였다.

임무와 직능

대사성은 성균관의 실질적인 책임자로 그 임무는 유생(儒生)들을 지도하는 것이 최우선이었다. 학업과 관련하여서는 유생들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업무를 수행하였고, 학업 이외에도 유생들의 생활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상황을 해결하였다.

대사성은 성균관 내 행정 업무를 관리하는 일을 담당하여 유생들이 받는 원점(圓點) 명단을 검토하는 것도 그중 하나였다. 주5 운영에 참여하여 해마다 서울과 지방의 유생들에게 취재(取才)를 시행하여 그들의 점수를 계산하여 식년시 문과 복시에 응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학(四學) 유생들을 주6하여 식년시 생원 · 진사시에 응시하도록 하였고, 사학합제(四學合製)에서 주7하여 역시 소과에 응시하도록 하였다. 한편 대사성은 성균관에서 열리는 주8를 준비하고 주9으로 참여하였다. 그리고 대사성은 성균관 관원들의 주10을 시행하여 이를 담당 관서인 예조(禮曹)에 보고하는 업무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통편(大全通編)』
『세조실록(世祖實錄)』
『속대전(續大典)』
『육전조례(六典條例)』
『태조실록(太祖實錄)』

논문

박영미, 「17세기 성균관의 인적 구성과 역할」(『한국교육사학』 40-3, 한국교육사학회, 2018)
신천식, 「조선전기 성균관의 시설과 교육직관에 대한 검토」(『명지사론』 8, 명지사학회, 1997)
정락찬, 「조선 전기 성균관 대사성의 자격 및 자질·임명·임기·대우」(『인문연구』 17-1,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5)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유학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아.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와 유학을 강론하는 명륜당 따위로 이루어졌다.    우리말샘

주2

제후의 나라에 설치한 대학.    우리말샘

주3

임금의 특별한 명령.    우리말샘

주4

일을 오랫동안 맡김.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성균관 유생만이 볼 수 있는 문과(文科)의 초시(初試). 대과(大科)의 초시는 대개 한성부(漢城府)와 팔도(八道)에서 보았으나, 특별한 경우 성균관의 생원ㆍ진사에게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었다.    우리말샘

주6

일정한 시기에 정기적으로 보는 시험.    우리말샘

주7

시험을 보아 인재를 뽑음.    우리말샘

주8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에 문묘(文廟)에서 공자에게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9

조선 시대에, 종묘 제향 때에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일을 맡아보던 제관.    우리말샘

주10

옳고 그름이나 선하고 악함을 판단하여 결정함.    우리말샘

집필자
임혜련(충남대 강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