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사 용화당 ( )

목차
관련 정보
해남 대흥사 용화당
해남 대흥사 용화당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완호대사가 건립한 사찰건물. 불전.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완호대사가 건립한 사찰건물. 불전.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정면 8칸, 측면 3칸의 익공식(翼工式) 팔작지붕건물로 1982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승려의 교육학당인 강원(講院)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지은 요사채로서, 초의선사(草衣禪師)의 스승 완호대사(玩虎大師)가 1811년(순조 11)에 착공하여 1813년에 준공하였으며, 이용에 편리하도록 증축된 부분이 엿보인다.

건물의 남측부에는 온돌방 3개와 부엌을 놓고 건물의 중앙부에는 큰 선방과 그 북쪽으로 작은방 2개가 있다. 이 선방의 동서면에는 큰 퇴와 작은 툇마루를 두었고 부엌쪽에는 고상(高床)으로 시설된 꽤 넓은 다락방이 있으며 부엌 한쪽에 계단을 두었다.

기단은 외벌대 죽담으로 되어 있으며, 주초는 자연석 주초이다.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으나 좌측에서 6번째 기둥만이 네모기둥으로 되어 있으며, 두리기둥에는 배흘림을 두었다.

전면 처마도리는 각을 죽인 납도리인데 받침장여를 대고 덧장여로 받쳤으며, 소로[小累]를 끼워 창방을 보냈다. 종도리도 역시 각을 죽인 납도리로 장여만 받쳤으며 동자주(童子柱) 대공으로 지지되었다.

대들보는 대강 양변치기한 자연목을 사용하였다. 후면 처마도리는 모접의 납도리를 장여가 받치도록 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전면 외부 포작의 공법이 초익공인데 그 초각이 매우 간박하여 좌로부터 5번째까지만 익공양식이다.

지형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약간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주초의 높이도 지형에 따라 시공함으로써 하인방(下引榜) 높이는 동일하나 기둥의 높이가 약간씩 다른 것이 특이하다. 지붕은 건물의 남쪽 ㄱ자로 꺾어 돌출시킨 부분은 맞배로 얹어 연결하였고, 다른 쪽은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천득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