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사 천불상 ( )

목차
관련 정보
해남 대흥사 천불상
해남 대흥사 천불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의 대흥사 천불전에 봉안되어 있는 옥석제 천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흥사천불상(大興寺千佛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9월 24일 지정)
소재지
전남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 (구림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의 대흥사 천불전에 봉안되어 있는 옥석제 천불상.
내용

1974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천불전은 1811년의 화재로 불탄 뒤 1813년 중건되었다.

이곳에는 중앙에 목조석가여래삼존상이 있고 그 주위에 1000구의 석조여래좌상이 장엄하게 봉안되어 있다. 이 천불상은 천불전 중건의 주역이었던 완호(玩虎) 대사의 제자 풍계(楓溪) 대사 등이 경주 지역의 옥석으로 6년에 걸쳐 조성하였다고 한다.

1821년 풍계 대사가 쓴 『일본표해록(日本漂海錄)』에 의하면 천불이 완성되자 몇 척의 배에 나눠 싣고 울산을 거쳐 바닷길을 통하여 대흥사로 향했다 한다. 도중에 풍계 대사가 탄 배가 부산 동래 부근에서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일본 나가사키현에 닿았는데 일인들이 서둘러 절을 짓고 불상을 봉안하려고 하자 이 불상들이 꿈에 나타나, “우리는 지금 조선국 해남 대흥사로 가는 중이니 이곳에 봉안될 수 없다.”고 하여 결국 되돌려 보냈다 한다.

이 기록은 풍계가 몸소 표류를 겪은 내용 뿐만 아니라 일본의 풍토, 문물, 습속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언급되어 있다.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와 『동사열전(東師列傳)』에 기록되어 있다.

천불상은 모두 각각 다른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다.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살이 많이 올라서 사각형에 가깝다. 머리에 중간 계주와 정상 계주가 있어 조선 후기 양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목은 짧고 등이 약간 굽은 듯하다.

귀는 길고 큰 편이서 유난히 강조되고 있다. 수인(手印)은 여러 가지 형식을 취하고 있어 천불상다운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자세는 모두 좌상이며, 무릎 높이가 전체 길이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

이 상들은 표면에 호분(湖粉 : 흰 가루)을 짙게 칠해서 흰색을 띄고 있다. 모두 노란색의 대의(大衣 : 설법을 하거나 걸식을 할 때 입는 중의 옷)를 별도로 만들어 걸치고 있다. 조성 시기가 19세기 전반기로 밝혀져 있어 이 시기의 불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동사열전(東師列傳)』
『대흥사(大興寺) 천불상(千佛像)』 -문화재도록(文化財圖錄)- 도지정문화재(道指定文化財) 편(篇)(전라남도, 1998)
『대흥사(大興寺)』(목정배 외, 대원사, 1994)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