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갑사 수미왕사비 ( )

목차
관련 정보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각 정측면
영암 도갑사 수미왕사비각 정측면
서예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수미왕사의 활동과 내력을 기록한 탑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도갑사수미왕사비(道岬寺守眉王師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87년 06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6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사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수미왕사의 활동과 내력을 기록한 탑비.
내용

전체 높이 334㎝. 비신 높이 200㎝, 너비 108㎝, 두께 21㎝. 1987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방형의 대좌 위에 귀부(龜趺) · 비신(碑身) · 이수(螭首)를 안치한 완형의 석비이다. 귀두는 용두화되었으며, 입에는 여의주 없이 위 아래로 이빨을 맞대고 있다.

목은 짧은 편이고 앞발은 약간 벌려서 八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발가락은 5개이다. 뒷발은 앞발과 달리 양 옆을 향하고 있다. 귀갑은 이중의 6각문(六角文)이며, 등에 비좌를 마련하여 비신을 받고 있다. 이수는 조선시대에 흔히 보이는 팔작지붕형이 아니고 장방형이다.

이수의 네 모서리 상단에 밖을 향하여 용두(龍頭)가 조각되어 있고, 몸둥아리는 서로 얽혀 허공을 날아 비약하는 모습이다. 이수의 전면 중앙에 또 한 쌍의 용이 조각되어 있는데 입을 근접시켜 혀를 맞대고 있는 재미있는 기법을 보여 주고 있다.

비 전면의 상단 전액(篆書)은 ‘月出山道岬寺王師妙覺和尙碑銘(월출산도갑사왕사묘각화상비명)’이라 적혀 있으며, 비문은 19행이 해서체로 서사되어 있다.

비문의 끝에 ‘崇禎己巳二月日始癸酉六月日立(숭정기사2월일시계유6월일립)’이라 적혀 있어 비의 건립은 1629년(인조 7) 2월에 시작하여 1633년(인조 11) 6월에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문은 조선 중기의 승려 백암성총(栢庵性聰)이 짓고 썼다. 비신 후면에는 비 건립에 참여하였던 지방인사와 승려 등의 시주자들이 음각되어 있다.

참고문헌

『영암군의 문화유적』(국립목포대학박물관·영암군,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