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곡집 ()

목차
관련 정보
도곡집
도곡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송종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송종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891년(고종 28) 자형 송기용(宋琦用)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신응조(申應朝)의 서문과 권말에 송기용의 발문이 실려 있다. 규장각 도서와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3에 서(書) 196편, 권4에 제문 6편, 축문 2편, 잡저 11편, 서(序) 4편, 기 2편, 발 7편, 묘표 1편, 시 32수, 권5는 부록으로 행장, 묘지명, 제문 22편, 권6은 부록 제가기술(諸家記述)로 정방백문(呈方伯文)·도산사의(道山私議)·만사 등 6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대부분은 서한이 차지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신응조·송병선(宋秉璿)에게 보낸 편지 등은 학문에 관한 문답이고, 그 외는 당시의 유명 인사들과 주고받은 글이다.

잡저의 「장흥부유각면강회제생문(長興府諭各面講會諸生文)」과 「재유제생문(再諭諸生文)」은 장흥에 흥학을 위한 강회를 베푸는 데 앞서 강규(講規)를 새로이 정하고 각 면에 훈장을 설치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에는 강회일, 훈장의 직무, 강회의 참석자 범위, 서책, 강회진행, 강석의 질서, 강회의 유사(有司) 선발 등 12항에 걸친 강회규약이 첨부되어 있다.

「호락한설(湖洛閒說)」은 호락시비(湖洛是非)에 관해 김한섭(金漢燮)과 논의한 내용이다. 그는 우열을 따지는 것은 가능하나 시비를 가리는 것은 불가하며, 한쪽 주장을 배척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하였다. 곧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오상설(五常說)은 경중을 비교할 수 없는 것이라 하였고,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론이 들어맞지 않는다고 해서 거기에 장단을 개재시켜 논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하였다. 그러므로 호론·낙론을 각기 주장하면 붕당만을 이루게 되므로 이를 불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