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양집 ()

목차
관련 정보
도양집
도양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신태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신태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19년 아들 효규(孝圭)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허채(許埰)·효규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두에 세계도(世系圖)가 있고, 권1에 사(辭) 1편, 부 1편, 시 182수, 권2에 서(書) 28편, 잡저 1편, 권3에 잡저 6편, 기 4편, 잠 2편, 명 5편, 축문 4편, 제문 6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묘지명·애사·만장(挽章)·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 가운데 「중용문답(中庸問答)」·「대학문답(大學問答)」은 서문(序文)에서부터 책 끝까지 장(章)마다 『대학』과 『중용』의 내용을 하나하나 문답형식으로 조리 있게 분석하였다.

「영고숙론(穎考叔論)」과 「도인비론(徒人費論)」은 『좌씨전(左氏傳)』의 기사를 논한 것이다. 이것은 「장량가학선론(張良假學仙論)」과 함께 송대(宋代) 여조겸(呂祖謙)의 『동래박의(東萊博議)』를 본뜬 작품으로, 조선시대에 성행하던 논술체재의 한 종류이다.

「독서쇄록(讀書瑣錄)」은 저자가 일생을 통해 섭렵했던 서적에서 문제점을 나름대로의 소견으로 기록해둔 것으로, 성리학 관계의 여러 책과 역학 등이 그 주축을 이루고 있다.

기문에서는 산수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 숨 쉬고 있는 역사의 인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 「도리산신정기(道理山新亭記)」를 꼽을 수 있다. 약효가 특이한 황기(黃芪)가 생산되는 도리산은 밀양의 서쪽, 창녕의 동쪽에 있는데, 이 산에서 서쪽 6, 7리 지점에 있는 화왕산(火旺山)은 홍의장군(紅衣將軍) 곽재우(郭再祐)가 성을 쌓았던 곳이고, 동쪽 20여리의 산 아래 삼강동(三綱洞)이라는 옛 마을은 교수(敎授) 노공(盧公) 부부가 충(忠)과 열(烈)을 이루었고, 첨사(僉使) 손공(孫公) 부자가 충과 효를 이루었던 곳이며, 동리의 서쪽에 있는 팔자암(八字巖)은 백운암(白雲庵)의 옛 터로 휴정(休靜)과 그의 제자 유정(惟政)이 설법하던 곳으로 전한다고 하였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기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