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찬요 ()

유교
문헌
주희 · 이황 · 이언적 · 이상정의 저술에서 중요한 부분을 취집해 1908년에 편찬한 유학서.
정의
주희 · 이황 · 이언적 · 이상정의 저술에서 중요한 부분을 취집해 1908년에 편찬한 유학서.
편찬/발간 경위

조독호(趙篤祜)의 찬으로 1908년 조성현(趙性玹) 등이 편찬·간행하였다. 권두에 조독호의 자서가 있고, 권말에 서석화(徐錫華)의 발이 있다.

서지적 사항

14권 2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은 도체(道體), 권2는 위학지요(爲學之要), 권3은 치지(致知), 권4는 존양(存養), 권5는 역행(力行), 권6은 제가(齊家), 권7은 출처(出處), 권8은 치도(治道), 권9는 치법(治法), 권10은 정사(政事), 권11은 교인(敎人), 권12는 계근(戒謹), 권13은 변이단(辨異端), 권14는 관성현(觀聖賢)으로 구성되어 있다.

찬자의 자서에 의하면 자신은 『주자대전(朱子大全)』·『회재문집(晦齋文集)』·『퇴계문집(退溪文集)』·『대산문집(大山文集)』을 항상 애독하기에 『주자대전』의 어록(語錄)과 『대학』·『맹자』의 혹문과 『논어집주』·『맹자집주』·『중용장구』와 『회재문집』의 구경연의(九經衍義), 『대학혹문』·『퇴계문집』의 언행록, 『대산문집』의 실기에서 중요한 항목을 발췌해 14개 항목으로 분류해 편찬했다고 하였다.

권1의 「도체」에는 태극(太極)·이기(理氣)·사단칠정(四端七情) 등 85개 항목을 수록하고, 권2의 「위학지요」에는 박학·심문·신사·명변·독행 등 94개 항목, 권3의 「치지」에는 허심정려(虛心靜慮)·궁리(窮理) 등 84개 항목, 권4의 「존양」에는 동정(動靜)·삼성(三省)·주경(主敬)·양심(養心) 등 58개 항목, 권5의 「역행」에는 극기(克己)·천선(遷善)·개과(改過)·성의 등 39개 항목을 수록하고 있다.

권6의 「제가」에는 효자지도(孝子之道)와 오륜행실(五倫行實) 등 29개 항목, 권7의 「출처」에는 행신(行身)·본분(本分)·염치(廉恥)·살신성인(殺身成仁)·사생취의(舍生就義) 등 17개 항목, 권8의 「치도」에는 군왕의 수덕(修德)에 대해 이언적의 「진수소(進修疏)」 중 일강십목소(一綱十目疏) 등 24개 항목, 권9의 「치법」에는 과거법(科擧法)·설교법(設校法)·작상징벌(爵賞徵罰) 등 16개 항목을 수록하고 있다.

권10의 「정사」에는 염치·근검·관대·시민여상(視民如傷) 등 24개 항목, 권11의 「교인」에는 『소학』의 의의와 오륜(五倫) 등의 21개 항목, 권12의 「계근」에는 군주(君主)의 원소인(遠小人)·진현인(進賢人)의 요도 등 20개 항목, 권13의 「변이단」에는 불로양묵(佛老楊墨)의 해독에 대한 논설 등 24개 항목, 권14의 「관성현」에는 안자(顔子)·증자(曾子)·맹자(孟子)·자사(子思) 등의 성인들과 그밖의 현인들이 공자를 추모하는 사실 등 42개 항목을 수록하고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