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총화 ()

한문학
문헌
일제강점기, 안택중이 신라 · 고려 · 조선시대 문인들의 시 작품과 관련 일화 및 비평 등을 수록한 시화집.
문헌/고서
저자
안택중(安宅重)
편자
안택중(安宅重)
편저자
안택중(安宅重)
판본
필사본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일본 동양문고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동시총화』는 일제강점기에 안택중이 신라·고려·조선시대 문인들의 시작품과 관련 일화 및 비평 등을 수록한 시화집이다. 총 5권의 필사본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은 안택중이 1915년부터 1918년까지 『매일신보』에 연재한 『동시총화』를 저본으로 삼은 축약본이다. 역대 유명 인물과 문인들의 시작품을 비롯해 허난설헌 등 여성과 승려의 시 작품, 중국인과 일본인의 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일본 동양문고에도 같은 이름의 필사본이 있지만 내용이 전혀 다르다.

정의
일제강점기, 안택중이 신라 · 고려 · 조선시대 문인들의 시 작품과 관련 일화 및 비평 등을 수록한 시화집.
저자 및 편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동시총화(東詩叢話)』의 저자는 안택중(安宅重, 1858~1929)이다. 안택중의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세거지는 김해(金海)다. 1880년에 증광 진사시(增廣 進士試)에 3등으로 합격하였고, 이후 사범학교 교관 및 교장 · 수학원 교관 등을 역임하였다.

서지사항

『동시총화』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일본 동양문고에 2종의 필사본 이본이 소장되어 있다. 규장각 소장본 『동시총화』는 속집 포함 총 5권이며, 동양문고 소장본 『동시총화』는 불분권(不分卷) 1책으로, 두 이본은 서명만 같을 뿐 내용이 판이하여 별개의 이본으로 간주된다.

규장각 소장본 『동시총화』는 안택중(安宅重)이 1915년 3월 19일부터 1918년 8월 20일까지 『매일신보』에 연재한 『동시총화』를 저본으로 한 축약본이다.

구성과 내용

규장각 소장본 『동시총화』를 중심으로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신라 · 고려 ·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역대의 유명 인물 및 문인의 시 작품과 그에 관한 일화 · 비평 등을 서술하였다. 하지만 일정한 주제 · 시기별로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인물들은 신라시대의 최치원(崔致遠)을 비롯한 신라 여성 시인, 고려시대의 김부식(金富軾) · 이제현(李齊賢) · 정몽주(鄭夢周) · 이곡(李穀), 조선시대의 성삼문(成三問) · 김극검(金克儉) · 정렴(鄭磏) · 김종직(金宗直) · 송익필(宋翼弼) · 백광훈(白光勳) · 강백년(姜栢年) · 정여창(鄭汝昌) 등을 비롯한 허난설헌(許蘭雪軒) · 부인 김씨(婦人 金氏) · 창기(娼妓) 취선(翠仙) 등의 여성들이다. 이 밖에도 중국인 설교(薛喬) · 설고(薛皐) 등과 일본인이 지은 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유응부기계인(兪應孚杞溪人)」에서 「홍화포익한(洪花浦翼漢)」, 권2에는 「한악부공후인(漢樂府箜篌引)」에서 「홍행우잔고주패(紅杏雨殘沽酒旆)」, 권3에는 「오달제호추담(吳達濟號秋潭)」에서 「한악부파동삼협가(漢樂府巴東三峽歌)」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4에는 「정지윤감회시(鄭芝潤感懷詩)」에서 「과산해관제오삼계전후(過山海館題吳三桂傳後)」, 속집에는 「송목지관이언진(松穆之館李彦瑱)」에서 「중강현시(中江縣詩)」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신해음사집(辛亥唫社集)』 · 『기아(箕雅)』 · 『고부기담(姑婦奇譚)』 · 『저호시화(樗湖詩話)』 ·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 · 『청구철영(靑邱綴英)』 등 저자가 『동시총화』를 편찬할 때 참고한 시사집(詩社集) 및 시문집이 인용되어 있으며, 저자와 직접적으로 교류했던 중국인 · 일본인 · 영국인의 비평을 비롯해 여성 시인들과 그의 스승이었던 해옹(海翁)의 시화에 대한 비평 등이 인용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전 시기에 편찬된 시화류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조선 말기의 시화를 수록하고 있으며, 특히 역관사가(譯官四家)에 속하는 정지윤 · 이언진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많은 시가를 수록하고 있어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단행본

조종업, 『한국시화총편 11』(동서문화사, 1989)

논문

김보성, 「동시총화(규장각본)의 저자 및 저본 고찰」(『한국한문학연구』 68, 한국한문학회, 2017)

인터넷 자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동시총화 해제(https://kyudb.snu.ac.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