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 극락전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동화사 극락전 정측면
대구 동화사 극락전 정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창된 사찰건물. 불전. 보물.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창된 사찰건물. 불전. 보물.
내용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건물. 보물. 1622년(광해군 14)에 중창되었다고 전한다.

기단(基壇)은 지대석을 놓고 석주(石柱)를 세운 다음, 판석을 끼워 넣고 다시 갑석(甲石)으로 마무리한 가구식(架構式) 기단인데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측된다.

기단 위에 놓은 초석들도 각형(角形) 바탕에 원형 주좌(柱座)를 이중으로 쇠시리(모를 접어 두 골이 나게 하는 일)한 고식(古式)의 것이며, 이 위에 원형 흘림기둥을 세워 창방(昌枋)으로 기둥 윗몸을 결구하고 다시 그 위에 평방을 놓았다.

공포(栱包)의 구성은 기둥 위에는 물론, 주간(柱間)에도 포를 올려놓은 다포식 양식이다. 공포의 짜임은 외이출목(外二出目)·내이출목으로 제공(諸貢 : 공포에서 첨자와 살미가 층층이 짜여진 것)에 놓이는 살미첨차[山彌檐遮] 끝은 쇠서받침 없이 교두형(翹頭形 : 활 또는 원호형으로 깍아낸 모양)을 이루어 초기의 다포양식 수법을 보이고 있다.

가구(架構)는 내부에 앞뒤 평주의 기둥배열에 맞추어 각각 4개씩, 모두 8개의 고주(高柱)를 세웠으며, 이들 고주와 앞뒤 평주 사이에는 퇴보[退樑]를 걸고 고주 사이에 대들보를 걸었다. 바닥은 우물마루로 처리하였으며 천장은 중앙의 종보[宗樑]가 걸리는 곳을 한층 더 높게 우물천장을 가설하였다.

참고문헌

『대구의 향기』(대구직할시, 1982)
『한국건축양식론(韓國建築樣式論)』(정인국, 일지사, 1980)
집필자
주남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