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극사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중국 황제의 등극을 축하하기 위하여 파견하였던 임시사절 또는 여기에 파견된 사신.
목차
정의
조선시대 중국 황제의 등극을 축하하기 위하여 파견하였던 임시사절 또는 여기에 파견된 사신.
내용

진하사(進賀使)의 일종이다.

중국 황실에 경사가 있을 때 보내는 축하사절의 공식명칭은 진하사이며, 그 전후에 축하의 대상 또는 내용을 밝히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등극은 경사 중에도 특별한 행사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하등극사(賀登極使)라는 고유명칭을 사용한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등극사로 불리웠다.

새로운 황제의 등극은 전 황제의 죽음을 전제로 한 것이므로 등극사는 진위사(陳慰使) 또는 진향사(進香使)와 동시에 파견되는 예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 대개는 등극사가 체제를 갖춘 정식사절이 되는 반면, 진위사·진향사는 명목뿐인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진위·진향사만이 파견되고 등극사는 파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새로운 황제가 즉위했을 때는 전 황제에 대한 진향보다는 새 황제에 대한 축하가 우선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전개될 외교관계는 새 황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춘 조선 사대외교의 실리추구성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등극사의 구성인원은 정사(正使) 1인, 부사(副使) 1인, 서장관(書狀官) 1인 외에 대통관(大通官 : 통역), 호공관(護貢官) 등 모두 30여 인으로 일반정규 또는 임시사절의 규모와 같다.

정사에는 대개 삼공(三公)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의 세폐물로서는 주로 마필(馬匹)·인삼·표피(豹皮)·저포(苧布)·마포(麻布)·화문석(花文席)·나전소함(螺鈿梳函)·황모필(黃毛筆) 등이었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중종실록(中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통문관지(通門館志)』
「연행소고(燕行小攷)」(김성칠, 『역사학보(歷史學報)』12, 1960)
집필자
이순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