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토기 (말)

목차
관련 정보
기마인물형 토기
기마인물형 토기
선사문화
유물
삼국시대 신라 · 가야지역에서 만들어진 도질(陶質)의 말모양 토기.
이칭
이칭
마형토기(馬形土器)
목차
정의
삼국시대 신라 · 가야지역에서 만들어진 도질(陶質)의 말모양 토기.
내용

‘마형토기(馬形土器)’라고도 한다.

말토기는 크게 말모양 위주로 만들어진 것과 사람이 말 위에 얹혀 있는 말탄사람토기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이는 다시 소형의 비용기적(非容器的)인 토우와, 용기적이면서 공헌용(供獻用)인 토기로 구분된다. 또한 뿔잔 끝에 말머리가 달린 토기와 말의 몸이 뿔잔처럼 된 토기들도 말토기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이들 말토기의 여러 유형 중에서 가장 전형적인 것은 사람이 타지 않은 용기적인 성격을 지닌 말토기이다. 이 토기들은 현재까지 4점이 알려져 있다. 1점은 현풍지방에서 출토된 것이고 나머지는 낙동강유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진다.

현풍 출토 말토기는 납작한 네모난 판 위에 네 다리를 벌리고 선 말이 올려져 있다. 몸통에 비해 다리가 짧고 말을 충실하게 표현하려고 했으나 전체적인 조각수법이 치졸하다.

고삐·안장·말띠드리개·꾸미개·발걸이 등의 말갖춤[馬具]이 갖추어져 있고, 몸통에는 점줄무늬가 장식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자연유(自然釉)가 두껍게 덮여 있다. 또한 말 등의 안장 안에는 사발모양의 그릇이 올려져 있다.

호암박물관 소장의 말토기는 굽다리접시 위에 말을 포개놓은 것 같은 형태이다. 네 다리를 약간 구부려 천천히 걷는 모습으로 고들개 등의 가죽띠와 아래·앞·뒤가리개가 있는 안장 등이 얹혀져 있고, 굽다리 형태의 그릇받침이 배를 떠받치고 있다. 이 토기는 현풍출토의 토기에 비해 사실적이고 힘차게 조각되어 있다.

이들 말모양만 조각된 전형적인 말토기 외의 말탄사람토기 등에서도 각종 말갖춤이 잘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말모양 토우와 말머리가 장식된 뿔잔 중에는 말갖춤이 표현되지 않은 것도 있다.

의의와 평가

이러한 여러 종류의 말토기들은 중국 육조시대의 동물형토기가 낙동강유역의 말신앙과 합쳐져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신라(新羅)·가야토기(伽耶土器) 편년(編年)에 관(關)한 연구(硏究)」(이은창, 『효성여자대학교연구논문집(曉星女子大學校硏究論文集)』23, 1981)
「신라가야동물형토기소고(新羅伽耶動物形土器小考)」(김원룡, 『한국학보(韓國學報)』13, 197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안승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