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간집 ()

목차
관련 정보
매간집
매간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이익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이익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2책. 목판본. 1722년(경종 2) 조카 희조(喜朝)와 아들 광조(光朝)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희조와 광조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고, 규장각 도서에는 필사본이 있다.

권1∼5에 시 376수, 권6에 소(疏)·차(箚) 11편, 계사(啓辭) 11편, 권7은 부록으로 시장(諡狀) 1편, 묘지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평이하면서도 기상이 뛰어나고 격조가 높다. 그 가운데에는 관동지방의 명승고적을 읊은 것이 많고, 이경석(李景奭)·홍명하(洪命夏) 등 당시 명성이 높은 인물들에 대한 만사가 많은 것이 특색이다.

소는 대부분이 사직소인데, 그 중 「진심경석의간행사소(陳心經釋疑刊行事疏)」는 당시 숙종이 『심경석의』를 간행하려 하자 그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 것으로, 『심경석의』는 이황(李滉)이 직접 감정(勘定)한 것이 아니고 그 제자 이함형(李咸亨)·이덕홍(李德弘) 등이 스승의 말을 기록한 것이므로 다소 소략한 점이 없지 않으나, 송시열(宋時烈)에게 대폭 수정을 가하게 하여 간행하자고 건의하는 내용이다.

차(箚) 중 「간원차자(諫院箚子)」는 1674년(숙종 즉위년) 대사간으로서 올린 것인데, 당시 거듭된 흉년으로 국고가 고갈되어 지방관청의 재정을 얻어 산릉(山陵)의 석물(石物)을 하여야 할 형편임을 지적, 효종의 능소를 옮길 때 보관되어 있는 석물을 다시 깎아서 사용할 것을 건의하여 검소의 미덕을 강조하였다.

그밖에 소·차와 계사 등에는 예론(禮論)에 관한 논의들이 있고, 그 예론을 통하여 송시열·허목(許穆)·윤휴(尹鑴) 등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