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암집 ()

목차
관련 정보
맹암선생문집
맹암선생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공신 · 학자, 김영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공신 · 학자, 김영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초간본은 1805년(순조 5)에 후손 세약(世躍)이 3권 2책으로 편집해 간행했고, 재간본은 1844년(헌종 10) 후손 재복(載福)이 간행하였다. 이 책은 1969년 후손들이 전집을 대본으로 편차를 약간 바꾸어 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김정모(金正模) · 김수조(金壽祖) · 심윤지(沈允之) · 김기수(金𱩿洙)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세약 · 김응환(金應換)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 소(疏) · 서(書) · 잡저, 권2는 부록으로 시장(諡狀) · 연시전말(延諡顚末) · 사제문(賜祭文) · 화상찬(畫像贊) · 화상서(畫像敍) · 묘갈문(墓碣文) · 행장 · 사실(事實) · 학림사예성축문(鶴林祠禮成祝文) · 정향축문(丁享祝文) · 맥정사봉안제문(麥井祠奉安祭文) · 차맹동초당시(次孟洞草堂詩) · 여맹암김참판서(與孟巖金參判書) · 회맹록후서(會盟錄後敍) · 와곡영당중수기(臥谷影堂重修記) · 추원계서(追遠契序) · 단서각상량문(丹書閣上梁文) · 신천서원기(新川書院記) · 신천서원봉안문 · 강당상량문(講堂上樑文) · 입교당기(立敎堂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오언절구 · 오언율시 · 칠언절구 · 칠언율시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대부분 자연을 읊은 것이다. 소는 단편적인 사직소이다.

서는 조영무(趙英茂) · 이숙번(李叔蕃) · 권근(權近) · 이원(李原)에게 답한 것이다. 모두 가훈에 따라 벼슬을 그만두고 장단(長湍)의 맹암(孟巖)에 살겠다는 편지이다.

잡저의 「회맹록(會盟錄)」은 1404년(태종 4) 11월 16일에 태종과 개국공신(開國功臣) · 정사공신(定社功臣) · 좌명공신(佐命功臣)들이 황천상제(皇天上帝) · 종묘 · 사직 · 산천에 고유(告由)했던 회맹문과 공신 70인의 봉호(封號) · 관작(官爵) · 성명을 수록한 것이다.

「공신록(功臣錄)」은 태종조의 추충분의익대좌명공신(推忠奮義翊戴佐命功臣) 38인을 수록한 것이다. 「출국사(出國史)」는 국사에서 저자에 관한 사실을 모은 것이다. 조선 초기의 공신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