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주 영진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빗살무늬토기 관련 유물산포지. 빗살무늬토기유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빗살무늬토기 관련 유물산포지. 빗살무늬토기유적.
내용

1962년에 미국 위스콘신대학 인류학 연구실의 동아시아지역 연구조사계획에 따라 샘플(Sample,L.L.) · 차드(Chard,C.S.) · 모어(Mohr,A.) 등에 의해 조사되었다. 그 뒤 1964년에는 임효재(任孝宰)에 의해 조사되었다. 유적은 주문진 남쪽 3㎞ 지점의 구 동해북부선과 도로가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유물포함층의 크기는 100×50㎡이다. 여기서 채집된 유물은 다량의 즐문토기편과 마제석부 1점, 석영제인기(石英製刃器) 2점, 사암제인기(砂巖製刃器) 2점, 골편 1점 등이 있다.

출토된 토기편의 태토(胎土)는 점토질에 석영립이 포함된 것으로 간혹 활석 · 석면 · 운모가 섞인 것도 있다. 색깔은 적갈색 · 황갈색 · 흑갈색이다. 기형(器形)은 구연부(口緣部)에서는 내반과 외반이 있으나 대부분 직립으로 처리되었으며, 저부는 모두 환저(丸底) 또는 첨저(尖底)이고, 평저(平底)도 있다.

문양은 구연부에는 평행집단사선문 · 점렬문(點列文) 등이 있고, 동체부에 주로 횡주어골문(橫走魚骨文) · 사격자문(斜格子文)이 나타난다. 그 밖에 반절죽관문(半截竹管文) · 조형문(爪形文) · 종선열문 · 평행선문 · 유엽형각선문(柳葉形刻線文) · 조대문(組帶文) 및 불규칙한 침선문(沈線文) 등도 있다.

이 유적에서는 이러한 문양토기편 외에 무문양토기편도 출토되었다. 1962년의 조사에서 채집된 343편 중 63편인 18%가 무문양이고, 1964년의 조사보고에도 17.5%의 무문토기편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의의와 평가

영진리 토기는 한반도 중서부지방이나 남부해안지역과 유사한 점이 보인다. 그러나 기형이나 시문법(施文法), 크기 등으로 볼 때, 더욱 가까운 관계를 가지는 것은 한강 하류지역인 것으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명주군(溟州郡) 영진리(領津里)와 가둔지(加屯地) 즐문토기유적(櫛文土器遺蹟)」(임효재, 『고고미술(考古美術)』71, 1966)
Progress Report on Archaeological Research in the Republic of Korea(Sample,L.L., Mohr,A., Article Anthropology 2, 1964)
집필자
백홍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