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당집 ()

목차
관련 정보
모당집
모당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손처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손처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판본. 1784년(정조 8) 후손 양겸(養謙)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李光靖)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는 시, 권3은 서(書)·잡저·잠·명·제문·축문·묘도문(墓道文)·행록과 부록으로 저자에 대한 만사·제문·묘갈·유사·청호사봉안문(靑湖祠奉安文)·춘추상향축(春秋常享祝)·청호서원승호고제문(靑湖書院陞號告祭文)·고유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문집에 수록된 작품은 대부분이 시이다. 오언절구·오언율시·칠언절구·칠언율시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자연을 인간 생활에 흡수시켜 읊은 서정시가 많으며, 도잠(陶潛)의 「책자시(責子詩)」를 읽고 지은 작품도 들어 있다. 장현광(張顯光)·정경세(鄭經世)·서사원(徐思遠)과 화답한 시와 전경창(全慶昌)·정구(鄭逑) 등 당시 학문적으로 저명한 인사들에 대한 만시가 있다.

서(書) 가운데 이용순(李用淳)에게 올린 서한은 임진왜란 당시 전경창과 함께 향병(鄕兵) 400명을 모아 자신이 살고 있는 고을 남쪽 팔조현(八助峴)에 의병을 잠복시키겠다는 내용이다. 관군과 합세해 왜적을 공격할 방략(方略)을 열거해 제시한 것이다.

감사 이시발(李時發)에게 올린 서한은 자신은 유자(儒者)로서 무학장(武學長)을 할 수 없다고 사의를 표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안민(安民)’ 두 글자로 정치의 강령을 삼고 돈신(敦信)·후생(厚生)·박부(薄賦)·흥학(興學)·용현(用賢) 다섯 가지로 절목을 삼아 정책을 시행하면 백성이 편안하고 나라가 부흥할 것이며, 부국이 되면 군사가 강해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정구에게 올리는 서한은 학문에 관한 것이다. 그밖에 서사원·장현광·정경세와 주고받은 서한이 있다.

잡저에 「부정척사통초문(扶正斥邪通草文)」은 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의 문묘배향에 관한 정인홍(鄭仁弘)의 무고를 반박한 소이다. 저자가 병중에 누워서 받아쓰게 하고, 도내 각 향교에 보내 일시에 모두 상소하도록 한 소이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