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868년(고종 5) 12세손 규환(圭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병규(趙昺奎)·박규환(朴圭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박규환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수, 서(書)·소(疏)·훈(訓)·논(論) 각 1편, 권2는 부록으로 시 1수, 만사·가장(家狀)·행장·묘갈명 각 1편, 문(文) 5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뒷부분에는 그의 손자 이(珆)의 문집인 『송계집(松溪集)』이 합철되어 있다.
서는 저자가 능참봉으로 있을 때 아버지에게 보낸 것으로, 곧 벼슬을 그만두고 귀가하여 정성(定省: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의 도리를 하겠다는 내용이며, 소는 부모 봉양을 위하여 올린 사직소이다. 훈은 두 아들을 조식의 문하에 보내면서 그의 학문과 인품을 찬양하고 스승의 학설을 깊이 믿으라고 훈계한 글이다.
논은 「문예어노자론(問禮於老子論)」으로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물었다는 부분에 대하여 공자가 어찌 예를 몰라서 그리하였겠는가, 다만 공자가 태묘에 들어가서 매사를 물어본 것과 같이 모든 것을 신중히 하려는 뜻이었다고 해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