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금당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양도남의 시 · 서(書) · 만사 · 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양도남의 시 · 서(書) · 만사 · 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권 1책. 목활자본. 8세손 응규(應奎)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병석(鄭秉錫)의 서문과 권말에 장복식(張福植)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137수, 만사 5편, 서(書) 13편, 서(序)·발(跋) 각 1편, 설(說) 2편, 상량문 1편, 논(論)·책(策) 각 2편, 축문 3편, 제문 5편, 잡저 3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상념이 청아하고 시구가 중후하다. 이 중 「월야유무금당기(月夜遊無禁堂基)」는 달밤에 무금당의 정황을 읊은 것이고, 「즉사(卽事)」는 나른한 봄날 한가히 누워 아이들의 글 읽는 소리와 부인의 베 짜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행복감에 젖는다는 내용이다.

서(書)의 「상미수허선생목(上眉叟許先生穆)」은 허목(許穆)에게 보낸 편지로, 안부와 함께 유과(油果) 48개를 보낸다는 내용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