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배 ()

목차
민속·인류
개념
새해에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잡귀를 막기 위하여 문에 붙이는 그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새해에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잡귀를 막기 위하여 문에 붙이는 그림.
내용

중국에서는 문신(門神)이라고 한다.

우리 나라 문배는 통일신라시대의 <처용가 處容歌>(處容門排)에서 유래한다. 신라 헌강왕이 용을 위해 사찰을 건립하자 용이 이에 대한 보답으로 일곱 아들로 하여금 춤을 추고 음악을 연주하게 하였다. 그중 한 아들인 처용은 임금을 따라 서울에 와서 아름다운 아내와 관직을 얻었다. 그런데 역신이 처용의 아내를 사모하여 그녀와 관계를 맺었는데, 처용이 넓은 도량으로 대하자 이에 감복하고 처용의 형용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다.

이로부터 사람들이 처용그림을 문에 붙여서 역신을 물리쳤다고 한다. 이것은 당나라 때 종규(鐘 )에 버금가는 문배이다.

조선시대에는 문배의 제재가 보다 많아지는데, 성현의 ≪용재총화  齋叢話≫를 보면, “이른 새벽에는 그림을 대문간에 붙이는데, 그림에는 처용·각귀(角鬼)·종규·복두관인·개주장군·경지보부인·닭그림과 호랑이그림 따위였다.”고 하였다. 처용이 가장 먼저 언급된 점으로 보아 조선시대에도 처용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전하는 문배로는 용호문배도(龍虎門排圖)가 가장 많다. 이 문배는 문 한쪽에는 호랑이 그림을 붙이고, 다른 한쪽에는 용을 붙여 짝을 이루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호랑이는 삼재를 瀲아내는 벽사의 기능을 하고, 용은 오복을 가져다주는 길상의 기능을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처용이 벽사의 기능만을 한다면 용호문배도는 벽사의 기능에 길상의 기능까지 겸하였다고 볼 수 있다.

19세기의 용호문배도 가운데 호랑이그림은 까치와 호랑이가 함께 등장하는 까치호랑이로 그려지는 것이 특색이다. 이 그림은 민초와 같이 힘없는 계층을 대변하는 까치가 권력을 함부로 휘두르는 탐관오리와 같은 호랑이를 통쾌하게 농락을 하고 있는 장면을 연상케 하는 것으로 벽사의 기능에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설화를 덧붙여 해학적으로 표현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용재총화(慵齋叢話)』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허균, 교보문고, 1991)
「민화와 민간연화」(정병모, 『강좌 미술사』 7,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