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사 금동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문수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불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문수사금동여래좌상(文殊寺金銅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9월 01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문수골길 201 (운산면, 문수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문수사에 있는 고려후기 에 조성된 불상.
내용

1346년 작. 높이 69㎝. 1974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은 1346년 작인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을 비롯한 고려 후기 불상 양식의 한 계열인 단아(端雅)한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달걀형의 갸름한 얼굴, 가늘고 적정한 눈, 오뚝한 콧날, 미소를 머금은 단정한 입 등의 세부 표현이 섬세하고 단아한 모습을 보여 준다. 또한 균형 잡힌 체구에 길상좌(吉祥坐 :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은 다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에 놓은 자세)의 자세 그리고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의 수인(手印) 등의 신체는 편안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신체의 특징뿐 아니라 적절히 가해진 옷주름, 왼쪽 팔꿈치의 Ω형 주름과 가슴의 승각기(僧脚岐)와 띠 매듭 그리고 승각기의 치레 장식 등 모든 점이 장곡사 불상과 동일한 양식을 보여 주고 있다. 이들 두 불상은 조성 연대도 같고 또 인근 지역에 있어 같은 조각장에 의하여 조성되었거나 혹은 동일 유파의 작품일 가능성이 짙다.

이 불상은 1973년의 복장(腹藏) 조사 때에 불상조성기(佛像造成記)와 복장기가 발견되어 제작 연대는 물론 300여 명이나 되는 불상 조성에 관련된 인물 등이 밝혀졌다. 또한 복장유물로는 『구역인왕경(舊譯仁王經)』과 「의천속장경간기(義天續藏經刊記)」 그리고 백저포(白苧袍)를 비롯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모두 국문학사와 인쇄 발달사 그리고 복식사 등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고려 조각사뿐 아니라 여러 면에서 문수사불상이 가지는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고려후기 단아양식(신고전적양식) 불상의 성립과 전개」(문명대, 『고문화』2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83.5.)
「서산문수사금동여래좌상복장유물」(강인구, 『미술자료』18, 국립중앙박물관,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