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홍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의병이며, 문학 작품을 많이 남긴 문인.
이칭
여간(汝幹)
매촌(梅村)
별명
매촌낭선(梅村浪仙)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7년(선조 10)
사망 연도
1620년(광해군 12)
본관
남평(南平)
출생지
경상남도 진주
주요 작품
두류팔선유편(頭流八仙遊編)
내용 요약

문홍운은 임진왜란 때 의병이며, 문학 작품을 많이 남긴 문인이다. 이몽학 사건에 연루된 김덕령에 대하여 신원하였다. 문장이 수려하였고, 지리산을 유람하며 남긴 「두류팔선유편」이 대표적이다. 여러 문인과 교유하였는데, '팔선' 중 한 사람으로서 매촌낭선(梅村浪仙)이라 불렸다.

정의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의병이며, 문학 작품을 많이 남긴 문인.
가계 및 인적 사항

문홍운(文弘運)의 자는 여간(汝幹), 호는 매촌(梅村)이다. 본관은 남평(南平,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이다.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가방리에서 태어났다. 1612년(광해군 4)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할아버지는 사섬시 정(正)을 지낸 문익성(文益成)이다. 아버지는 진사 문할(文劼)이다. 아우는 문홍규(文弘逵)이다.

주요 활동

임진왜란 때 아버지 성광(醒狂) 문할과 함께 활동하며 격문을 지어 보냈다. 또 김덕령이몽학 역모 사건에 연루되자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과 함께 소장(疏章)을 올려 변론하였다.

문장이 뛰어나 수많은 시를 남겼는데, 신선 세계를 예찬하며 동경하였다. 지리산 청학동이나 향로봉에서 신선을 보았다고도 하였다. 특히, 성여신(成汝信)과의 관계가 돈독하여 「방장산선유일기(方丈山仙遊日記)」 등 성여신의 작품과 기록에도 자주 등장한다. 1616년(광해 8) 가을에 성여신을 비롯하여 정대순(鄭大淳), 박민(朴敏), 이중훈(李重勳) 등과 함께 두류산을 유람하였다.

문홍운의 작품으로는 지리산을 유람하며 남긴 「두류팔선유편(頭流八仙遊編)」이 대표적이다. 장편 5언시이며, 240구 1,200자에 이른다. 그는 여러 문인과 교유하며 함께 지리산을 유람하였는데, 1616년 유람한 기록이 잘 남아 있다. 여기서 ‘팔선’이라 이름한 것은 신선들의 놀이였기 때문인데, 8인은 매촌낭선(梅村浪仙, 문홍운), 부사소선(浮査少仙, 성여신), 옥봉취선(玉峯醉仙, 정대순), 봉대비선(鳳臺飛仙, 강민효), 동정적선(同庭謫仙, 이중훈), 능허보선(凌虛步仙, 박민), 죽림주선(竹林酒仙, 성박), 적벽시선(赤壁詩仙, 성순)이다. 쌍계사 요학루(邀鶴樓) 벽에 이들 팔선의 이름을 썼다.

작품

저술로 『매촌집(梅村集)』이 있다.

참고문헌

원전

『간송집(澗松集)』
『남평문씨가호세고(南平文氏嘉湖世稿)』
『부사집(浮查集)』
『순암선생문집(順菴先生文集)』
『진주읍지(晉州邑誌)』

단행본

최석기·강정화, 『선인들의 지리산 기행시』 3(보고사, 2016)

논문

윤호진, 「醒狂 文劼과 梅村 文弘運의 生涯와 文學」(『남명학연구』 26, 남명학회, 200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