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임진왜란, 이괄의 난, 병자호란 당시에 활동한 의병.
이칭
계유(季悠)
설파(雪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2년(명종 17)
사망 연도
1640년(인조 18)
본관
함양(咸陽)
출생지
영암(靈巖)
내용 요약

박승원은 임진왜란, 이괄의 난, 병자호란 때 당시에 활동한 의병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와 형과 함께 고경명 의병에 합류하였다. 정유재란 당시 임환 등과 함께 활동하였으며, 수군에 군량을 공급하였다. 이괄의 난 때는 군사 및 군량을 모았으며,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정의
조선 후기 임진왜란, 이괄의 난, 병자호란 당시에 활동한 의병.
가계 및 인적 사항

박승원(朴承源)은 1562년(명종 17) 전라남도 영암에서 태어났다. 자는 계유(季悠), 호는 설파(雪坡),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오한(五恨) 박성건(朴成乾)의 주1이며, 녹야당(綠野堂) 박대기(朴大器)의 둘째 아들이다. .

주요 활동

임진왜란 당시 아버지와 형 박장원(朴長源)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고경명 의병과 함께 활동하였다. 고경명이 순절하자 그 아들 고종후와 함께 활동하였다. 정유재란 때에는 같은 고을의 임환(林懽)주2하여 주3 박근이(朴謹已), 임게(林垍), 이정조(李廷祚) 등과 함께 활동하였다. 주4를 전후하여 통제사 이순신이 고금도에 진을 치고 있을 때 군량을 공급하는 계원도유사(繼援都有司)로 활동하였다.

1624년 이괄의 난 때는 주5조행립(曺行立), 신여의(愼汝誼)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군사와 군량을 모았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가 화친하였다는 소식에 통곡하며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 후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거부하고 칩거하였다.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효종 대에 송시열송준길이 박승원이 삼란 당시에 창의한 전후 사실을 아뢰었고, 그 후손인 박수성(朴壽聖)을 금부도사에 제수하였다.

상훈과 추모

1681년(숙종 7) 죽정서원(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을 건립하고, 박성건(朴成乾)을 주향(主享)으로 하고, 박권(朴權) · 박규정(朴奎精) · 이만성(李晩成) · 박승원 등을 주6하였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영암읍지(靈巖邑誌)』
『죽정서원지(竹亭書院誌)』
『호남병자창의록(湖南丙子倡義錄)』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논문

나선하, 「17세기 靈巖地方의 鄕案·鄕戰과 향촌지배질서의 추이」(『지방사와 지방문화』 제16권 제2호, 2013)
주석
주1

증손자의 아들. 또는 손자의 손자.    우리말샘

주2

국난을 당하였을 때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킴.    우리말샘

주3

성과 본이 같은 사람들 가운데 유복친 안에 들지 않는 같은 항렬의 아우뻘인 남자.    우리말샘

주4

정유재란 때인 1598년 10월부터 11월 초까지 전라남도 순천에서 벌어진 전투.

주5

성과 본이 같은 사람들 가운데 유복친 안에 들지 않는 조카뻘이 되는 사람.    우리말샘

주6

공신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