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자앙(子昻), 호는 양호(楊湖). 고려 때 명상(名相) 민영모(閔令謨)의 15세손으로, 민우중(閔友仲)의 아들이며, 민우맹(閔友孟)에게 입양되었다. 5세가 되면서 양부모가 살던 양호로 내려가 외숙 조위한(趙緯韓)으로부터 글을 배웠다.
14세 때 폐모(廢母)시키는 광해군의 패륜을 보고 과거의 뜻을 버렸으며, 『맹자』를 읽다가 새삼 성현의 학문이 따로 있음을 알게 되었다.
김장생(金長生)과 장현광(張顯光)에게 배움을 청하였으며, 특히 김장생이 충청도 연산(連山)으로 돌아갈 때는 따라가 『대학』과 『가례(家禮)』 등 제서(諸書)를 배웠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생모 김부인을 모시고 입경하였는데, 남한산성으로 피신한 인조의 소식을 듣고 자결하려 하였으나 실행하지는 못하였다.
1650년(효종 1) 김집(金集)과 더불어 국가의 대사(大事)에 대하여 의논하기도 하였다. 그 해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 1653년 내시교관(內侍敎官), 1655년 창릉참봉(昌陵參奉), 1660년(현종 1) 동몽교관(童蒙敎官)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그 뒤 다시 양호로 내려가 살다가 67세에 서울에서 죽었다. 품성이 단아하고 고결하였으며, 정학(正學)에 몰두하여 위기지학(爲己之學)에 힘썼다. 특히, 학문에 있어서 이기론(理氣論)의 주요 문제에 대해서는 모두 이이(李珥)의 학설을 따랐다. 저서로 『양호유고(楊湖遺稿)』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