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신의주 역사박물관에서 조사하였다. 유적의 주변에는 이러한 벽돌무덤[塼築墳] 외에 벽돌과 돌을 섞어 쌓은 무덤, 돌방무덤[石室墳] 등의 다양한 고분들이 있다.
이 무덤은 3기(基)의 벽돌무덤 가운데 제1호 무덤이며 ‘ㅏ’자형의 구조를 보인다. 무덤은 흑색운모 및 장석이 많이 섞인 화강암반의 생토를 파고 축조되었다. 전실과 후실의 두 방과 입구인 연도(羡道)로 이루어졌다. 무덤의 방향은 북쪽으로 약간 치우친 서향이다.
전실은 남북으로 긴 네모꼴이고 후실은 동서로 긴 네모꼴이다. 연도는 전실의 서쪽 가운데에 달려 있으며 붉은 빛깔의 차진 점토를 섞어서 메웠다.
전실과 후실의 서쪽 모서리에는 약간 높게 대(臺)가 마련되었다. 전실과 후실 사이에는 너비 30㎝의 벽돌로 쌓은 사이벽[間壁]이 있다. 사이벽 중간에는 전실과 후실을 연결하는 너비 76㎝의 통로가 있다.
천장은 파괴되어 확실하지 않으나 돔식으로 생각된다. 특히, 벽면은 흙의 외압을 막기 위해 밖으로 기울게 쌓아 무덤방의 평면은 배부른 긴 네모꼴이 되었다. 바닥에는 벽돌을 두 겹으로 깔았다.
바닥 위의 재층[灰層]에서는 오수전(五銖錢), 옥돈(玉豚) 등의 각종 장옥(葬玉), 청동대구(靑銅帶鉤), 철기류(鐵器類) 등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밖에도 문양벽돌·기와·회백색의 도기조각 등이 있다. 전반적인 유물의 출토상황은 평양 부근의 중국계 무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이 무덤은 청천강 이북의 평안북도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벽돌무덤으로 우리나라 고분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무덤의 형태에서도 전실의 측실(側室)이 벽이 없이 바로 연장된 전후 2실형식으로의 변화된 형식을 보인다. 이 무덤은 낙랑시대의 것으로 그 시기는 1∼3세기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