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산 ()

백양산 백학봉
백양산 백학봉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과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에 걸쳐 있는 산.
이칭
이칭
백암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과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높이 722m. 백양삼봉인 백학봉(白鶴峰, 722m)ㆍ가인봉(加仁峰, 677m)ㆍ옥녀봉(玉女峰, 470m)이 북쪽ㆍ서쪽ㆍ남쪽을 에워싸고 있는 말굽형을 이루며, 천진암(天眞庵)의 계곡이 남동쪽으로 열려 있다. 일명 백암산이라고도 불린다.

자연환경

지질은 복흥면과 백양사(白羊寺) 및 옥녀봉 일대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白堊紀)의 신라층군(新羅層群) 상부를 관입분출한 백악기 말의 산성화산암으로 되어 있다. 주요 암석은 안산암으로 절리(節理)에 따라서 암편(岩片)의 분리가 잘 되어 학바위와 같은 절벽이 산정에도 있다.

백양산에서 발원하는 계곡의 물은 장성호로 흘러들어 황룡강(黃龍江)을 경유, 영산강의 상류가 된다. 약사암 주변에는 일본 남부에 분포하는 산곤약이 격리ㆍ분포하며, 백양사 근처에서부터 백학봉 서쪽 사면까지 비자나무 순림(純林)과 굴거리나무가 있는데, 내장산(內藏山)의 것들과 함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내장산에는 약 600종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진노랑상사화, 굴거리나무, 비자나무, 큰설설고사리, 만주바람꽃, 변산바람꽃, 민대극, 백양더부살이, 백양꽃, 옥녀꽃대, 뀡의바람꽃, 이나무, 단풍나무 등이 분포한다.

내장산, 백암산(백양산) 및 입암산의 30개 격자 중 7개 격자의 18개 방형구(20×20m)에서 실시한 내장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방형구별 주요 군락은 소나무, 비자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 단풍나무군락, 굴거리나무군락이다. 합다리나무, 나도밤나무, 검양옻나무 등이 나타나 식물구계학적으로 남부아구에 포함되었다.

현황

내장산ㆍ입암산(笠巖山, 626m)과 함께 1971년 내장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백양산은 그 남부에 속한다. 백암산 지구의 역사문화자원은 백양사지구와 남창지구로 나뉘는데, 백양사 지구는 전통사찰 백양사와 불교 유산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고 남창지구는 입암산성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이 분포되어 있다. 백양사는 호남선의 백양사역에서 북동쪽으로 7㎞ 지점에 위치하며 31본산의 하나로, 여기에 극락보전ㆍ대웅전 등의 지방문화유산이 있다.

참고문헌

『역사ㆍ문화자원 관리방안 연구(歷史ㆍ文化資源 管理方案 硏究):내장산국립공원 백암산지구(內藏山國立公園 白岩山地區)』(국립공원관리공단 내장산국립공원백암사무소, 2007)
『내장산국립공원(內藏山國立公園) 자원(資源)모니터링, 2차년도』(국립공원관리공단 내장산사무소, 2006)
『내장산국립공원일대종합학술조사보고서(內藏山國立公園一帶綜合學術調査報告書)』(한국자연보존협회, 1974)
내장산국립공원(http://naejang.knps.or.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