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m. 2층기단 위에 세워진 방형의 삼층석탑으로서 신라 전형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상하기단의 면석(面石)에 탱주(撑柱 : 받침기둥) 대신 안상(眼象)을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지대석(地臺石) 위에 놓인 하층기단 면석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 사이에 3구씩의 안상을 새기고 두툼한 갑석(甲石)의 윗면에는 2단의 굄을 각출(刻出)하였다. 비교적 큰 상층기단의 면석은 4매의 판석(板石)을 세우고 갑석은 2매 판석으로 구성하였다. 면석에는 가는 우주 사이에 꽉 들어차게끔 큼직한 안상을 새겼다.
갑석 밑에는 부연(副椽)을, 윗면에는 1단의 굄을 조각하여 탑신(塔身)을 받고 있는데, 탑신부는 각 층마다 옥신(屋身)과 옥개(屋蓋)를 별석(別石)으로 제작하였으며 옥신에는 우주를 조각하였다. 옥개석은 얇은 편으로 처마는 수평을 이루었으며 밑에는 4단의 옥개받침이 표현되었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 위에 보주를 얹었으나 보주는 후대에 보충한 것이고 노반은 거꾸로 놓였다. 이 탑은 근년에 보수하면서 기단 밑에 또 하나의 석단을 설치하고 그 위에 탑신을 세웠기 때문에 탑신에 비하여 높은 느낌을 준다. 조성연대는 범어사의 창건시기인 830년(흥덕왕 5)경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