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라시대의 삼화령석조미륵불의상(三花嶺石造彌勒佛倚像)과 함께 매우 희귀한 의상(倚像)에 속하는 작품이다.
연꽃의 대좌 위에 두 다리를 걸친 자세이다. 두 다리를 한껏 벌리고 앉아 있어서 두 다리가 각진 것처럼 보이는 부자연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직각에 가까운 형태는 어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무릎에서 팔로 이어지는 선을 연장하면 직삼각형이 만들어진다. 즉, 기하학적인 구도로 되어 있다.
낮은 육계(肉髻)와 규칙적이면서도 특이한 나발(螺髮)·계주(髻珠) 등도 기하학적이다. 얼굴은 갸름하면서도 원만하다. 하지만 치켜 올라간 눈초리, 길면서 빈약한 코, 작은 입, 정면을 향하고 있는 도식적인 귀, 군살이 진 턱 등에는 추상성이 보이고 있다.
얼굴에 보이는 추상성은 도식적인 삼도(三道), 수평적인 어깨, 직각적인 팔, 유난히 잘쏙한 허리, 삼각형적인 상체, 수평적인 무릎과 직선적인 다리, 규칙적인 옷주름, 날카로운 연꽃의 형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얼굴에 표현된 미소는 두 손을 가슴에 모아 설법인(說法印)을 짓고 있는 모습과 더불어 능숙하면서도 숙달된 조각 기량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특징은 1350년(충정왕 2)에 제작된 미륵하생경변상도(彌勒下生經變相圖)의 불상 표현과 친연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리고 이 불상이 새겨진 암석 바로 앞에 있는 바위 면에 조각된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과 미륵불 바로 옆에 새겨진 설화도(說話圖)들은 이 불상들이 법상종(法相宗)의 신앙으로 조성되었음을 보여 준다. 즉, 이 불상은 당시의 신앙을 알려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