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조선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조선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854년(철종 5) 후손 상룡(相龍)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휘령(李彙寧)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권1에 시 53수, 서(書) 33편, 권2는 기 2편, 명(銘) 2편, 상량문 1편, 축문 2편, 제문 16편, 유사 2편, 권3은 부록으로 만사·제문·행장·묘갈명·묘지명·봉안문 등으로 되어 있다.

서는 주로 정석달(鄭碩達)과의 왕복서신으로 학문에 관한 내용들이 많다. 명의 <직방재명 直方齋銘>은 경의(敬義)에 입각한 유교철학의 학문방법을 말하여 좌우명으로 삼은 글이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