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권 6책. 목판본. 1775년(영조 51) 채제공(蔡濟恭)과 아들 필악(必岳)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채제공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6에 시 1,066수, 권7에 소차(疏箚) 8편, 권8에 서(書)·서(序) 7편, 기 7편, 설 3편, 권9에 묘지명 11편, 묘갈명 3편, 행장·유사 각 1편, 권10에 제문 18편, 권11에 애사 9편, 발 10편, 잡저 10편, 권12에 책문(策文) 2편, 만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 대해 채제공은 서문에서 “창울(蒼鬱), 노건(老健)하다.”고 높이 평가하였다. 그는 오상렴(吳尙濂)·채팽윤(蔡彭胤)의 시맥을 이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오언고풍(五言古風)에서는 뜻이 유원하여 깊은 함축미를 느끼게 한다.
소는 사직소가 대부분이고, 그밖에 「주역복괘연의소(周易復卦演義疏)」와 같이 학문적인 내용의 소가 있어 주목을 끈다. 기의 「행양소기(杏陽小記)」는 광주(廣州)의 퇴촌(退村)과 행양리(杏陽里)의 유래를 소개한 글이다.
잡저의 「묵지간금(墨池揀金)」에서는 각종 서법(書法)의 원류를 종합, 소개하고 있다. 만록은 「한묵지희(翰墨識戱)」·「총명쇄록(聰明瑣錄)」으로 편명이 되어 있는데, 시문에 대한 평론, 또는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 보고 들은 것 등을 기록한 것이다.